[생활속의 재테크]30대샐러리맨에 증권-보험-은행‘3색 처방’

  • 입력 2006년 12월 27일 02시 58분


코멘트
여기 한 직장인이 있다. 맞벌이에 두 자녀를 키우는 회사원 노모(33) 씨.

수입은 괜찮은 편이다. 남편은 대기업, 부인은 중소기업에서 일한다. 부부는 1년에 약 5700만 원을 번다. 30대 초반의 나이에 벌써 내 집도 마련했다.

하지만 여유가 없다. 대출금도 갚아야 하고 자녀 교육을 생각하면 저축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매달 돈 나갈 곳은 또 왜 이리 많은지….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고 싶었다. 하지만 어느 곳을 찾아가야 할지 막막했다. 은행에는 프라이빗뱅킹(PB) 서비스라는 게 있어 재무상담을 해 준다고 했고, 증권사도 PB를 운영한다고 들었다. 보험사에도 PB 같은 일을 하는 재무설계사(FP)들이 있다고 했다. 과연 이 가운데 어느 곳을 찾아 나서야 하는 것일까.

○ 어디서 재무 상담을 받아야 할까

노 씨만의 얘기가 아니다. 최근 금융회사들이 앞 다퉈 고객 자산관리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지만 그 차이는 한눈에 드러나지 않는다.

그렇다고 은행과 증권사, 보험사의 처방이 같을 수는 없다. 같은 문제에 대한 세 곳의 처방은 어떻게 다를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보는 하나은행과 삼성증권, 교보생명 등 3곳에 노 씨의 재무 상담을 의뢰했다.

노 씨의 재무 상황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었다. 수입은 그런대로 괜찮지만 지출이 지나치게 많았다. 내 집을 서둘러 마련하려고 은행 대출을 과도하게 받아 쓴 탓이다. 매달 갚아야 하는 원리금(원금+이자) 부담 때문에 재무 상황이 개선되기 힘들었다.

노 씨 부부의 월수입은 475만 원. 그런데 월 지출은 430만 원이다. 이 가운데 200만 원이 원리금을 갚는 데 들어간다.

노 씨는 주택 구입자금 가운데 1억 원을 주택금융공사의 30년 만기 고정금리 모기지론을 통해 마련했다. 이에 더해 부족한 자금을 채우려고 은행의 직장인 신용대출을 3곳에서 받은 게 문제였다. 노 씨의 대출상품 가운데에는 2년 동안 1000만 원을 빌리면서 15%의 금리를 물어야 하는 상품도 있었다.

은행과 증권사, 보험사는 이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세 가지 해결책을 내놓았다.

○ 보수적인 보험사, 공격적인 증권사

노 씨 재무 상담 결과 보험사의 재무 컨설팅이 가장 보수적이었다. 보험사는 만기가 수십 년에 이르는 상품을 주로 판매한다. 현재의 자산을 불리는 것보다는 위기 상황 또는 노후에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게 보험상품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보수적일 수밖에 없다.

교보생명은 ‘절약’을 강조했다. 생활비를 최대한 줄여 저축부터 늘리라는 제안이었다. ‘주거용’으로 사용되는 집에는 가급적 손을 대지 말고 저축을 통해 부채를 해결한 뒤 비상 여유자금(3∼6개월치 소득)을 저축하라고 권했다. 금융상품 투자는 이 모든 준비가 완료된 뒤에나 할 일이라고 했다.

반면 삼성증권에서는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를 제안했다.

새로 산 집을 전세로 주고 인근 지역에 더 싼 전세를 얻어 생활하며 몇 년간 돈을 모으라는 것이다. 전세 차익은 고금리 대출을 우선 갚아 매월 원리금 지출 부담을 줄이라고 했다. 여기서 절약한 돈은 2, 3년간 적립식 펀드에 투자해 전세 계약이 끝나는 2, 3년 뒤 목돈을 마련하라고 조언했다.

세부적으로는 국내 주식형 펀드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국 주식형 펀드에 금융 자산을 분산해 적립식으로 투자하라는 조언도 있었다. 평소 금융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해 온 증권사의 특징이 고스란히 반영된 상담 결과였다.

은행의 재무 개선안은 공격적인 증권사와 보수적인 보험사의 중간 정도였다.

하나은행은 노 씨에게 ‘대출 구조조정’을 권했다. 대기업 근로자이기 때문에 마이너스 대출 또는 제2금융권 대출을 잘 알아보면 금리가 연 10% 이내인 대출상품도 있다는 설명이었다. 하나은행은 노 씨에게 이런 대출로 고금리 신용대출을 적어도 한 가지는 갚아 이자 부담을 줄이라고 권했다.

장기적으로는 앞으로 아파트 시세가 올랐을 때 지금 살고 있는 주택을 정리하고 재테크 계획을 다시 세우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했다. 자녀 교육비가 들어가고 남편이 30대 후반이 되는 5, 6년 후까지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르리라는 보장이 없다는 설명이었다.

김상훈 기자 sanh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