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근로자 허리띠 더 졸라맨다…지갑 선뜻 안열어

  • 입력 2006년 8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국민들이 ‘소비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도시 근로자 가구의 올해 2분기(4∼6월) 평균소비성향은 같은 분기 기준으로 8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주거비와 교통비, 전기료 등 생활에 꼭 필요한 부문에는 지출을 하지만 외식비 교양오락비 등 먹고 즐기는 데는 지갑을 예전처럼 열지 않았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분기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도시 근로자 가구의 2분기 평균소비성향은 73.3에 그쳐 같은 분기로 비교할 때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2분기(66.1) 이후 8년 만에 가장 낮았다.

평균소비성향은 세금과 각종 연금을 낸 뒤 실제 쓸 수 있는 소득(처분가능소득)을 100으로 볼 때 이 중 얼마나 소비하느냐를 나타내는 지표다. 수치가 낮을수록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있음을 뜻한다.

특히 5단계로 나눈 소득 분포에서 중산층으로 분류되는 3분위층(월평균 소득 292만8100원)의 소비성향도 1998년(71.5) 이후 최저치인 75.6으로 떨어졌다.

도시 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31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6.5% 늘었지만 소비 증가율은 5.8%로 소득 증가율에 미치지 못했다.

LG경제연구원 송태정 연구위원은 “향후 경기 둔화를 의식해 가계도 재무 구조조정을 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가급적 저축을 늘리면서 급하지 않은 교양오락비나 의복 구입비 등은 점차 줄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도시 근로자 가구가 2분기에 지출한 소비 내용을 보면 주거(14.2%) 교통(7.8%) 교육(6.6%) 광열비(4.7%) 등의 증가폭은 컸던 반면 외식(―1.1%) 의류 신발(2.1%) 교양오락비(1.9%) 등은 감소 또는 증가폭이 둔화됐다.

교통비와 광열비의 지출이 늘어난 것은 기름값이 오른 영향이 컸다.

삼성경제연구소 최순화 수석연구원은 “지난해부터 시작된 소비 구조조정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가에 의무적으로 내야 하는 세금, 연금 및 각종 사회보험료 등 비(非)가계지출에서는 세금지출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전국 가구의 세금지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1% 증가했으며 도시 근로자 가구의 세금지출도 13.5% 늘어났다.

한편 소득 하위 20% 가구와 상위 20% 가구의 소득 격차는 2000년 이후 가장 크게 벌어졌다.

상위 20% 가구의 소득이 하위 20% 가구 소득의 5.24배에 달해 5.28배였던 200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이는 현 정부가 추진해 온 양극화 해소정책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현진 기자 witness@donga.com

김선우 기자 sublime@donga.com

▼日은 ‘58개월 최장기 호황’ 기대

CEO 44% “경기확대 1년 더 지속”… 11월 戰後신기록 예상▼

일본 경제가 제2차 세계대전 후 최장기 호황 기록을 경신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7일 일본 주요기업 최고경영자(CEO)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응답자의 95%가 “일본의 국내 경기가 확대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44%는 경기확대 국면이 앞으로도 1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의 경기호황이 올해 11월까지 이어지면 58개월에 이르게 돼 전후(戰後) 최장 기록으로 일컬어지는 ‘이자나기 경기’를 넘어서게 된다.

이자나기 경기는 1965년 11월부터 1970년 7월까지 57개월간 지속된 전후 일본의 최장기 호황을 말한다.

일본 CEO의 대부분은 이자나기 경기를 돌파할 것으로 확신하고 있는 분위기여서 1990년대의 ‘잃어버린 10년’과는 분위기가 딴판이다.

지난해에 비해 올해 사업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본 CEO가 70%에 달했다. 40%는 영업, 생산 분야 인재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고 답해 일본 기업들이 자신감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경영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 전문가들은 일본경제 부활의 원동력으로 기업들의 자체적인 구조조정 노력과 상생(相生)의 노사문화, 정부의 지원을 꼽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구본관 수석연구원은 “일본 정부는 공공부문 민영화 등 구조개혁에 솔선수범하면서 기업 및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환경 조성에 주력했다”면서 “구조조정 관련 각종 규제완화와 면허세 등록세 인하 등 세제 지원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배극인 기자 bae2150@donga.com

도쿄=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