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공기업화]기아, 産銀지분 국민주로 매각

  • 입력 1997년 10월 26일 19시 37분


강경식(姜慶植)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이 제시한 「기아자동차 국민기업화 방안」은 특정재벌에 기아를 넘기려 한다는 이른바 음모론을 잠재우면서 동시에 공기업의 비효율성을 극복하자는 뜻을 담고 있다. 이 방안은 산업은행의 기아자동차 대출금 3천2억원을 자본금으로 전환한 뒤 이 주식(지분율 약 37%)을 재벌에 팔지않고 국민주형태로 일반에 매각한다는 것. 또 경영시스템으로는 사외이사제를 통한 전문경영인체제를 갖춘다는 것이다. 산은의 기아주식을 재벌에 팔면 프리미엄도 챙길 수 있는데 이를 마다하고 국민기업화한다는 것은 특혜논란을 잠재우고 명분을 살린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재벌의 족벌경영과 공기업의 비효율적 관치경영 모두를 비판해온 강부총리로서는 기아를 제삼의 경영형태에 맡겨보겠다는 구상을 하게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방안이 추진되면 삼성그룹의 기아 인수는 어렵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기아의 정상화에 걸리는 기간을 2년으로 보고 있는데 삼성이 이 기간만큼 기다릴 수 없을 것으로 정부 및 자동차산업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즉 삼성이 기아 인수를 희망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협력업체들을 한꺼번에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인데 삼성은 독자적으로 협력업체 망을 구축하거나 기아 매각까지 기다리거나 해야 한다는 것. 이는 삼성 나름의 시간표와는 맞지 않으므로 결국 삼성은 기아 인수를 포기하게 될 것이란 분석이다. 재계는 그동안 기아 법정관리를 추진한 정부의 의도가 △기아자동차를 공기업 형태로 1년정도 유지하다가 △경영이 정상화되면 산은 지분을 매각해 삼자인수를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 기아차인수를 위한 물밑 탐색전에 착수해 왔으나 앞으로는 새 국면에 접어들게 됐다. 문제는 이같은 방식의 실천은 다음 정권의 몫이란 점. 따라서 실현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현 정권에선 기아를 법정관리하에 놓은 뒤 사외이사 제도와 함께 전문경영인 체제를 갖춰놓는 것까지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만 해놓아도 다음 정권에서 기아차를 덥석 특정 재벌에 넘기기는 쉽지않을 것이란 게 당국자들의 분석이다. 〈임규진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