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정계비-울릉도 배편까지
기록한 조선전도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선을 표시한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에서 군사시설까지의 거리 등 조선의 지리 정보를 빼곡히 담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목판본’이 일본에서 돌아왔다. 문화재청이 30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한 총 23첩의 이 지도는 모두 펼친 뒤 이어 붙이면 세로 6.7m, 가로 4m 크기가 된다. 조선의 지리학자 김정호(1804∼?)가 1864년 제작한 대동여지도 목판본에 동여도(東輿圖)에 기재된 주기(註記·지도 여백에 영토의 역사와 지도 제작법, 사용법 등을 적어놓은 정보)와 교통로 등 지리 정보를 추가로 필사한 조선전도다. 문화재청은 “대동여지도 위에 동여도의 내용까지 필사된 판본이 발견된 건 처음”이라고 밝혔다. 동여도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 때 저본(底本)으로 삼았던 조선전도로, 1만8000여 개에 달하는 지명과 조선시대 교통로, 군사시설 등이 빼곡히 담겼다. 동여도의 제작자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대동여지도에 묘사된 산맥과 형태가 유사해 역시 김정호가
기록한 조선전도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선을 표시한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에서 군사시설까지의 거리 등 조선의 지리 정보를 빼곡히 담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목판본’이 일본에서 돌아왔다. 문화재청이 30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한 총 23첩의 이 지도는 모두 펼친 뒤 이어 붙이면 세로 6.7m, 가로 4m 크기가 된다. 조선의 지리학자 김정호(1804∼?)가 1864년 제작한 대동여지도 목판본에 동여도(東輿圖)에 기재된 주기(註記·지도 여백에 영토의 역사와 지도 제작법, 사용법 등을 적어놓은 정보)와 교통로 등 지리 정보를 추가로 필사한 조선전도다. 문화재청은 “대동여지도 위에 동여도의 내용까지 필사된 판본이 발견된 건 처음”이라고 밝혔다. 동여도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 때 저본(底本)으로 삼았던 조선전도로, 1만8000여 개에 달하는 지명과 조선시대 교통로, 군사시설 등이 빼곡히 담겼다. 동여도의 제작자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대동여지도에 묘사된 산맥과 형태가 유사해 역시 김정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