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집성촌 ‘칠곡 매원마을’ 문화재 된다

  • 뉴시스
  • 입력 2023년 4월 14일 10시 02분


코멘트
문화재청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칠곡 매원마을’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14일 밝혔다.

‘칠곡 매원마을’은 17세기 광주이씨 석담 이윤우(1569-1634)가 아들 이도장(1603-1644)을 데리고 이주한 후, 이도장의 둘째아들 이원록(1629-1688)이 뿌리를 내려 그 후손들이 지금까지 살고 있는 영남지방 대표 동족마을이다.

마을은 주변 자연지세에 순응해 동·서 방향을 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운데 ‘중매’를 중심으로 동쪽 ‘상매’와 서쪽 ‘하매’로 영역이 구분된다. 문하재청은 “이는 동족 구성원들이 갈라지면서 나아가는 시간적·공간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마을 곳곳에는 다양한 민속적 요소들이 있다. 이중 소나무 밭(동솔밭)은 마을 서쪽 경계의 지형을 보강하려고 조성한 숲이다.

문화재청은 “풍수지리적으로 이상적인 주거지를 만들려고 전통적 노력을 엿볼 수 있다”며 “오늘날에도 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인 동제를 통해서 마을의 전통을 계승해 오는 등 지난 400여 년간 보존되어온 역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을 내 여러 곳에는 무덤이나 사당 옆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은 집인 재실이 세워졌으나 근대와 6·25전쟁 등을 거치면서 실용적인 주거 공간으로 용도가 바뀌어 유교적 질서체계가 시대적 상황에 순응하며 변모해 가는 양상도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칠곡 매원마을은 근·현대기를 지나오면서 이뤄진 마을 영역의 확장 및 생활방식 등의 변화 속에서 다른 영남지방의 동족마을과 구별되는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며 “가옥 및 재실, 서당 등을 비롯해 마을옛길, 문중 소유의 문전옥답 옛 터 등 역사성과 시대성을 갖춘 다양한 민속적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국가등록문화재로서의 등록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문화재청은 ‘칠곡 매원마을’에 대해 30일간 예고기간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