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저어새, 부모 따로 자식 따로 겨울나기 이동 확인

  • 뉴시스
  • 입력 2023년 1월 20일 09시 49분


코멘트
“천연기념물 저어새는 겨울나기를 위한 이동 경로를 스스로 학습한다. 자식 개체가 부모개체로부터 특정 이동경로를 교육받거나 학습하는 것이 아니었다.”

20일 문화재청은 지난해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에 성공한 저어새 세 가족 중 부모 수컷 3마리와 새끼 수컷 5마리에 각각 위치 추적기를 달아 추적한 끝에 이같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저어새는 서남해안 연안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겨울을 나기 위해 부모와 새끼들이 서로 다른 경로로 중국과 대만으로 이동했다.

그동안 여름철새 저어새 부모는 중국, 대만 등에서 겨울을 나는 것은 알려져 있었으나 정확한 이동경로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간 저어새 이동경로 연구는 번식한 새끼 새들이 대상이었다. 이번에는 부모와 새끼 새들의 이동경로 비교를 위해 처음 가족 단위 연구가 진행됐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지난해 6월 저어새 세 가족에 위치추적기를 달고 방사한 후 지난해 10월 초부터 11월 초 사이에 겨울나기를 위해 이동하는 개체마다 경로를 분석했다.

부모 중 수컷 3마리는 평균 시속 50㎞ 속도로 약 1624㎞를 날아 대만에 최종 도착했다. 새끼 5마리 중 4마리는 평균 시속 47㎞의 속도로 약 967㎞를 비행해 중국에 도착했다. 다른 1마리만 평균 시속 51㎞의 속도로 약 1379㎞를 날아 대만에 도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어새는 전 세계에 3940여 마리만 생존하고 있어 보호가 절실한 종이다. 저어새는 전세계적으로 5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 2종이 있다.

저어새는 중국, 한국 등지에서 번식하며 일본, 대만, 중국 하이난섬 등에서 월동한다. 노랑부리저어새는 유럽, 인도, 아프리카, 중국,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이번 저어새 이동경로에 대한 연구정보는 문화재청 웹사이트에서 문화재 공간정보(GIS)시스템과 연계한 ‘천연기념물 생태지도 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저어새와 번식지 보존을 위해 칠산도 번식지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대만 월동지에도 현지조사단을 구성해 실태조사에 나서 효율적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