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마르틴 루터는 혁명을 꿈꾸지 않았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마르틴 루터 한 인간의 운명/뤼시앵 페브르 지음/김중현 옮김/360쪽·2만 원·이른비

1517년 10월 31일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교회 문에 ‘95개조 반박문’을 못으로 박고 있는 모습. 페르디난트 포웰스가 1872년 그린 그림이다. 이른비 제공
1517년 10월 31일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교회 문에 ‘95개조 반박문’을 못으로 박고 있는 모습. 페르디난트 포웰스가 1872년 그린 그림이다. 이른비 제공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예수와 유대 열심당원을 문득 떠올렸다. 유대 열심당원은 로마 식민지로 전락한 이스라엘을 독립시키기 위해 조직된 일종의 민족주의 단체다. 예수가 공생애를 막 끝내고 복음을 전파하던 초기에 이들은 예수를 민족의 해방자로 여기고 추종했다. 그러나 예수의 생각은 전혀 달랐다. 그는 십자가에 못 박히기 전 설교에서 자신은 선민주의로 가득 찬 유대인들만을 구원하기 위해 온 게 아니며, 온 세상을 구원하려고 온 메시아임을 선포했다.

 이 책 저자가 본 루터와 독일 민족의 관계도 비슷한 구석이 있다. 루터가 1517년 10월 31일 그 유명한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교회 문에 붙이는 순간, 루터의 종교와 사상, 신조는 이미 새로운 해석의 과정을 거치게 됐다는 것이다. 마치 활시위를 떠난 화살처럼 95개조 반박문에 든 정신은 빠르게 독일의 그것으로 체화되기 시작했다. 꿈보다 해몽이 좋다는 말이 이런 때 쓰일 수 있을까.

 마르크 블로크와 더불어 1930년대 아날학파를 주도한 역사학자답게 저자는 당시 루터를 둘러싸고 있던 독일의 정치, 사회구조에 주목한다. 15, 16세기 독일은 인문주의로 무장한 이탈리아나 절대왕정의 영국과 달리 황제와 제후, 도시들로 분열돼 대립한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이런 연유로 로마교황에게 세금과 경제적 이익을 갈취당하면서도 제지할 수 없던 무기력함에 독일인들은 깊은 좌절에 빠졌다.

 이때 교황과 제후들이 탐욕에 눈이 멀어 면벌부(면죄부) 판매에 나서자 결연히 비판한 루터의 행동은 독일인들의 강력한 지지를 얻었다. 재밌는 것은 정작 루터 자신은 교황이나 제후들에게 대적하려는 의도가 별로 없었다는 점이다. 저자는 95개조 반박문이 루터 자신의 치열한 신앙적 번민과 성찰의 결과물이었을 뿐이었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1524년 교회와 제후들에게 맞서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킨 ‘농민전쟁’ 당시 루터는 “농민들의 유혈 반란은 반드시 진압돼야 한다”며 철저히 제후들 편에 선다.

 이를 두고 루터가 변절했다는 해석이 나왔지만 저자는 “당연한 귀결이자 오해”라고 말한다. 95개조 반박문을 내고 농민전쟁을 반대한 루터의 일관된 신조는 ‘내적 구원’이었지 ‘민중 해방’이 아니었다는 얘기다. 예수를 유대 민족의 해방자로 오인한 열심당원이 오버랩되는 건 무리일까.

 루터에 대한 저자의 평가는 비교적 중립적이다. 종교개혁의 영웅 혹은 민중의 변절자로 낙인찍지 않는다. 그보다 훨씬 입체적으로 루터의 삶과 사상을 추적하고 있다. 특히 남은 기록이 많지 않은 1517년 이전 루터의 성장기를 조명하는 데 각별한 공을 들였다. 95개조 반박문은 어느 날 갑자기 튀어나온 감상적 격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세속 학문을 공부하던 청년 루터가 중병을 앓고 영혼의 안식을 얻으려 수도사가 됐지만 오히려 율법주의에 갇혀 괴로워한 모습을 의미 있게 포착했다. 이런 경험은 결국 95개조 반박문을 쓰게 된 중요한 바탕이 됐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마르틴 루터 한 인간의 운명#뤼시앵 페브르#마르틴 루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