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씨 에세이 ‘아아, 남대문’ 발표

  • 입력 2008년 2월 28일 02시 55분


소설가 박완서 씨. 동아일보 자료 사진
소설가 박완서 씨. 동아일보 자료 사진
“전쟁통 소녀마음 다독여줬던 숭례문

민족에게 꿈을 주는게 문화의 힘인데…”

“당시만 해도 남대문(숭례문) 주위에는 높은 건물이 없었다. 남대문 홀로 크고 장엄했다. 그렇다고 위압적인 건 아니었다. 대도시의 혼잡에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진 조그만 계집애에게 괜찮다, 괜찮아라고 다독거릴 듯 인자하고 편안해 보였다.”

소설가 박완서(77) 씨는 숭례문을 처음 본 때의 기억을 더듬어 당시의 감상을 이렇게 표현했다. 그의 나이 여덟 살 때의 일이다.

박 씨는 월간 문예지 ‘현대문학’ 3월호에 ‘아아, 남대문’이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싣고 숭례문에 대한 추억을 들려주면서 불타버린 숭례문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했다. 박 씨는 “남대문의 문패는 남대문이 아니라 숭례문이라는 것을 어려서부터 알고 있었다”고 밝혔지만 글에선 ‘남대문’이라는 이름을 썼다.

그는 개성을 떠나 서울역에 처음 도착하던 날 대도시의 모습에 극도의 혼란을 느꼈을 때 남대문 덕분에 위안을 얻었다고 털어놨다.

“남대문의 석축은 어린 손자들을 치마폭에 감싸주는 증조할머니처럼 부드럽고 여성스러웠다. 남대문 덕분에 저 문 안의 도성이 살 만한 데가 될 것 같은 안도감이 왔다.”

그는 그 후로는 남대문 곁을 지나면서도 눈여겨보지 않았다고 고백했다. 하지만 1974년 쓴 단편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에 그는 남대문을 등장시켰다.

소설의 주인공은 6·25전쟁으로 서울을 떠나면서 ‘마지막 돌아보는 셈 치고’ 뒤를 돌아본다. 그의 시야에 ‘의연히 서 있는’ 남대문이 들어온다.

주인공은 “눈발을 통해 본 남대문은 일찍이 본 일이 없을 만큼 아름답고 웅장했다…나는 거의 종교적인 경건으로 예배하듯이 남대문을 우러르고 돌아서서 남으로 걸었다”고 말한다. 절망에 빠져 있던 주인공은 남대문을 본 뒤로는 “이상하게도 훨씬 덜 절망스러웠다”고 밝힌다.

박 씨는 글에서 문화와 문화재의 소중함에 대해 한마디 한다.

“어떤 극한 상황에서도 우리를 덜 절망스럽게 하고 희망과 꿈을 갖게 하는 거야말로 바로 문화라는 것의 힘일 터이다. 그건 또한 문화 민족이라면 문화재가 있어야 하는 까닭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문화재가 그걸 공유한 민족에게 이러한 영감을 주기까지는 많은 세월이 걸리게 돼 있다.”

금동근 기자 gol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