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

  • 입력 2007년 10월 13일 03시 01분


코멘트
19세기 프랑스 상징주의 화가 귀스타브 모로의 ‘파에톤’. 태양신의 마차를 몰다가 추락해 죽은 파에톤은 빛에 대한 동경, 상승과 하강의 신화적 원형을 상징하는 존재다. 질베르 뒤랑이 1960년 상상계의 낮과 밤의 체제를 담아 발표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의 표지는 이 그림으로 뒤덮여 있다. 사진 제공 문학동네
19세기 프랑스 상징주의 화가 귀스타브 모로의 ‘파에톤’. 태양신의 마차를 몰다가 추락해 죽은 파에톤은 빛에 대한 동경, 상승과 하강의 신화적 원형을 상징하는 존재다. 질베르 뒤랑이 1960년 상상계의 낮과 밤의 체제를 담아 발표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의 표지는 이 그림으로 뒤덮여 있다. 사진 제공 문학동네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질베르 뒤랑 지음·진형준 옮김/712쪽·3만8000원·문학동네

자유로운 상상력도 일정한 틀과 유형에 의거해 작동하고 있음을 분석한 고전이다. 저자인 질베르 뒤랑(86)은 영미권의 노스럽 프라이와 함께 신화비평이론의 양대 산맥으로 꼽힌다.

1960년 출간된 이 책이 이제 번역이 된 것은 방대하고 난해한 내용 때문이기도 하지만 뒤랑이 국내 소개된 프랑스 구조주의나 후기구조주의와 전혀 다른 전통에 속한 학자라는 낯섦 때문이기도 하다. 뒤랑을 이해하려면 스승인 가스통 바슐라르부터 시작해야 한다.

‘상상력의 해방가’로 알려진 바슐라르는 서구 이성 중심의 전통에서 ‘거짓과 오류의 원천’이자 이성의 어두운 그림자로 비판받아 온 상상력을, 이성과 동등한 위치로 올린 철학자였다. 바슐라르가 이를 과학과 시학으로 양립시켰다면 뒤랑은 상상력의 토대 위에 이성이 작동한다며 “이성은 상상력의 특수한 형태”라고 설파했다. 뒤랑은 상상력이 물 불 공기 흙의 원형이미지의 변형으로 이뤄진다는 스승의 4원소론이 지닌 서구중심주의를 비판적으로 극복하며 모든 인류에게 적용될 수 있는 상상계의 구조와 체계를 확립했다.

이 책의 서문은 웬만한 학자도 읽어낼 수 없을 만큼 난삽하다. 20세기 상상력연구의 전기를 마련한 사르트르에 대한 비판과 자신의 이론 수립을 위해 국내 독자들에겐 낯선 온갖 ‘주의’를 종횡무진하기 때문이다.

이를 넘어서기 위해선 바슐라르 외에도 정신분석학자 구스타프 융, 러시아의 신경과학자 V M 베흐테레프를 징검다리로 삼아야 한다.

뒤랑은 모든 인간에게 적용될 수 있는 상상력의 인류학을 위해 베흐테레프가 정립한 반사학의 지배 반사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지배반사란 인간의 조건반사적 행동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우선적인 몸짓을 말한다. 그것은 신체의 평형을 유지하려는 자세 지배소와 섭취 지배소, 교접 지배소다. 그는 이 3대 지배몸짓에 융의 원형이론을 적용해 상상계의 3대 구조를 수립한다. 그것이 바로 자세 지배소와 연관된 분열형태구조(영웅적 구조), 섭취지배소와 연관된 신비구조, 교접지배소와 연관된 종합구조(드라마적 구조)다.

분열형태구조는 선악, 빛과 어둠 같은 분열과 대립구도가 중시되며 신비구조는 동화와 내면화를 지항한다. 종합구조는 상이한 요소의 결합을 강조하며 무한한 반복의 힘을 표현한다.

뒤랑은 이런 구조들을 낮과 밤의 양대 체제로 재범주화한다. 분열형태구조는 이미지의 낮 체제에 속하고 신비구조와 종합구조는 이미지의 밤 체제에 속한다. 본문은 바로 이 2체제 3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흥미로운 점은 레비스트로스 인류학의 영향 아래 있던 푸코, 들뢰즈, 데리다가 ‘차이’를 강조하는 반플라톤의 지적 전통에 있다면 뒤랑의 인류학은 ‘공통성’을 지향하는 플라톤적 전통에 있다는 발견이다. 인간 내면의 원형으로서 이데아를 강조한 플라톤적 전통은 문학평론가에서 문화인류학자로 변신한 르네 지라르의 모방의 문화인류학에서도 확인된다. 프랑스 지성계의 또 다른 다원성을 보여 준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