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40년畵業결산 개인전 '한국화단의 큰 봉우리' 이종상

  • 입력 2003년 5월 13일 17시 59분


코멘트
《일랑(一浪) 이종상(李鍾祥·65) 화백이 오는 8월 정년 퇴임을 앞두고 있다. 서울대 교수직은 물론, 서울대 박물관장직에서도 물러 나지만, 그는 “하고 싶은 일을 더 많이 할 수 있게 되었다”며 기대에 부풀어 있다. 21일∼6월10일 선 화랑에서 마침 그의 40여년 화업을 결산하는 개인전이 열린다. 선 화랑이 새 건물을 신축하며 열리는 이번 전시엔 몇 천호에 이르는 대작부터 중간 크기 작품까지 신작 70점이 출품된다. 한국 현대 화단의 몇 안 남은 거장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전시다.》

민중회화, 실경산수, 역사적 의미가 내재된 독도 시리즈, 그 조형 작업의 완결편이라 할 원형상 시리즈 등 그의 작업 세계는 넓고 깊다. 수묵, 채색, 극사실에서 추상 표현주의에 이르기까지 섭렵하지 않은 조형 세계가 없고 그 작업적 전환점에서 그가 내보인 조형들은 우리 현대 미술의 발화점이자 기폭제가 되었다.

작품 세계에 대해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던 중 참고 있던 질문을 던졌다. “따님이 돌아 가신 후 삶과 그림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원형상-금강준(160.5 X 130.5㎝)' 1999년작. 1980년대 말 부터 등장한 '원형상'시리즈는 삼라만상의 대자연이 단순 정제된 표현양식으로 조형화된 것으로, 세계에 대한 전향적, 총체적, 심층적 인식의 요체를 담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 선갤러리

인터뷰하기 전, 그에 대한 숱한 자료들을 찾아 읽다가, 그가 ‘참척(慘慽)의 경험 이후 가톨릭에 귀의했다’는 한 대목을 보고 이 거장(巨匠)의 내면이 궁금했었기 때문이다.

동서고금을 넘나드는 해박한 지식과 탄탄한 화론(畵論)으로 종횡무진하던 그는 난데없이 무례한 질문을 피할 수도 있었건만, 표정이나 목소리에 변화없이 예의, 울림이 큰 목소리로 말을 이었다.

“유일하게 내 뒤를 이을 아이였는데…. 내가 잘못한거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들어요. 나는 ‘노력하면 안될 게 없다’는 정신으로 살았어요. 아이들에겐 그런 내가 파쇼적인 아버지일 수도 있었겠지…. 하긴, 제자들도 내가 무서워 가슴이 두근거린다고 하니, 하하.” 그는 소년처럼 웃었다.

“난, 평생 보이지 않는 것은 믿지 않는 사람이었소. 이성과 논리만을 믿었지요. 너무 자만하며 산거지요. 딸 아이 투병을 지켜보면서 많은 것을 배웠어요. 생명이 얼마나 감사한 지도 깨달았고. 아이를 보내면서 마침내, 내 사유가 미치지 못한 세계가 있음을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내 안에 있던 분노와 이기심, 시기심이 씻은 듯 사라지더라구요.”

그는 서울대 미대와 대학원을 나와 약관에 국전 추천 작가가 되어 일찍이 화명(畵名)을 떨쳤다. 모교의 교수로 35년(강사생활 12년 포함)째 강단에 서왔고, 현재 서울대 박물관장으로 재직하며 국립대 박물관의 면모를 일신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동양 화단의 정상, 현대 한국 회화의 정점에 닿아 있는 작가인 그에게 새삼 구구한 수사를 달 필요는 없을 정도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그를 강하고 뜨거운 사나이로 기억하지만, 그의 내면은 약하고 섬세했다. 평범이나 대충이란 것은 없이 ‘절대 몰입’의 삶을 살아 왔기에 쉰이 넘은 나이에 맞닥친 ‘참척’이라는 삶의 고통 앞에 철저히 무릎꿇었다.

‘항복’의 방법 역시 그 다웠다. 초월이나 허무대신 현실 속에 자신을 더 몰아친 것이다. 그러다 꼭 1년 전 심근경색으로 사경을 헤냈다. 그림작업에, 학교일, 화단과 성당 일까지 무려 스무개 안팎의 직책을 맡아 바삐 오가다 쓰러졌던 것.

‘스물 다섯시간을 사는 사나이’로 불릴 정도로 열심히 사는 그에게 ‘때로 자책이나 허무감이 몰려오지 않느냐’고 묻자 이렇게 말했다.

“그럴 시간이 없지요. 그때 일(투병)도 건강에 대해 너무 과신했다는 것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지요. 병원에 4분만 늦게 도착했어도 죽었다고 하대요. 죽으면 또 죽는 거지 뭐. 그저 살아 있는 순간 순간, 최선을 다하는 거지요.”

오전 11시에 시작한 인터뷰는 오후 3시가 임박해서야 끝났다. 그의 말은 열정적이었고 쉼이 없었고 게다가 재미있었다.

그는 자신의 열정을 자신이 아닌, 온전히 남을 위해 쓰는 사람이었다. 자신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과 장소가 있다면, 기꺼이 내 던졌다.

“지식이나 돈은 베풀기 위해 갖는 겁니다. 우리는 쌓기만 가르치지 쓰는 것은 안 가르쳐요. 예술의 목적도 결국 인간입니다.” 02-734-0458

허문명기자 angelhu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