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국립극장 민간경영 1년]서비스는 개선

  • 입력 2001년 1월 8일 18시 44분


세종문화회관과 국립중앙극장. 예술의 전당과 더불어 한국 문화인프라를 대표하는 공연장들이다. 세종문화회관은 1999년 7월 재단법인화와 함께 이종덕 총감독 체제가 출범했고, 국립극장은 지난해 1월 책임운영기관으로 선정돼 연극 영화인인 김명곤 극장장이 운영의 키를 잡았다. 민간경영체제로 운영된 지난 1년의 공과를 짚어봤다.

◇무엇이 개선됐나

문화계 인사들은 “외형적 서비스는 개선됐다”고 입을 모은다. 세종문화회관은 쓰임새가 적던 대회의실을 400석 규모의 중형극장인 ‘컨벤션센터’로 재개관했고, 직원이 150명에서 80여명으로 줄어든 만큼 사무공간을 줄여 전시실을 확대했다. 대 소극장 사이 통로에는 편의점 PC방 문화용품점 등이 있는 아케이드 ‘아트피아’가 들어섰다.

국립극장도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시설을 보완하고 실내외 카페를 설치했으며 노선버스 정류장을 극장 가까이 이전하는 등 편의성이 크게 개선됐다. 민간경영체제 도입 목적 중 하나인 재정자립도 향상도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 국립극장의 경우 1999년 7.34%이던 재정자립도를 지난해 15%(예상)로 두 배나 끌어올렸고 세종문화회관도 19.5%에서 26.3%로 높였다.

◇아쉬운 점은 없나

공연의 질적인 면에서는 아직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종문화회관은 노사갈등으로 서울시립교향악단 등 전속단체의 공연 수준이 오히려 저하됐다. 국립극장도 전속단체의 단장과 예술감독을 분리했으나 공연내용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는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또 ‘수익률을 높이라’는 안팎의 압력에 대응하다 보니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세종문화회관은 악극과 대중가수 공연이 지나치게 많다는 비난에 시달렸다.

세종문화회관 관계자는 “실제 대중공연의 비율은 30%선이다. 화제성이 크기 때문에 실제보다 많은 것처럼 인식된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는 “대중공연이 부각된 것은 전속단체를 활용한 눈에 띄는 기획공연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고백했다.

국립극장도 지난해 총체극 ‘우루왕’을 공연하면서 기존의 관람료보다 두 배 이상 오른 2만∼8만원을 받아 여론의 포화를 맞았다. 극장측은 “전속단체가 총동원된 만큼 비싼 관람료는 어쩔수 없었다”고 서둘러 해명했다.

◇개선책은 무엇

공연계 전문가들은 “기획공연을 활성화해야 ‘복합공연장’으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다”고 주문한다. 일회성 행사로 수익을 높이거나 단발성 화제를 끌어내려는 시도로는 관객들에게 질 높은 공연을 제공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전속단체의 공연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율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극장 내외부의 전문가로 평가단을 구성해 공연 결과를 엄정하게 평가하고 개선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립극장의 경우 제도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있다. “체제변화없이 극장장만 민간인으로 바꾼 반쪽짜리 책임경영”이라는 폄하가 극장 외부에서 이어졌다. 진정한 책임경영을 이루기 위해서는 재단법인화 등 독립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먼저 마련돼야 한다는 것.

음악평론가 한상우는 “자립경영 이전의 방만한 예산낭비 요소를 없앤 뒤에는 청중 개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과도한 자립도의 추구는 청중을 실망시키고 결국 발걸음을 돌리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탁계석 21세기문화광장 대표는 “공연장이 추구해야 할 예술성의 제고라는 목표가 재정자립도라는 부차적 목표 때문에 희생되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유윤종기자>gustav@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