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핫뉴스주제별 핫한 뉴스 모음
매거진&전문지
- 주간동아홍콩 ELS 억대 손실 사연 들어보니… “예금하러 갔더니 VIP실로 안내 후 가입 권유”서울 강서구에 사는 조규봉 씨(76)는 2년여 전 자신의 선택을 자책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2021년 1월이에요. 33년 공직 생활을 하며 마련한 집을 전세 놓으면서 목돈이 생겼어요. 2억5000만 원 정도. 그 돈을 예금에 넣으려고 주거래 은행인 국민은행에 찾아갔는데, VIP실로 안내하더라고요.” 당시 KB국민은행 직원은 조 씨의 예금 가입을 만류했다. “예금상품에 목돈을 넣어봤자 금리가 1%도 채 안 되는데, 연 4% 이상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주가연계증권(ELS)이 훨씬 낫지 않겠냐”며 홍콩H지수 연계 ELS 상품 가입을 강하게 권유한 것이다.
- 신동아메가 서울, 왜 살아 있는 뇌관인가‘메가 서울’은 미풍에 그칠까. 그럴 수도 있다. 내년 총선만 놓고 보면 그럴 개연성도 있다는 얘기다. 멀리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훗날의 정치사가(史家)들은 2023년을 어떤 변곡점으로 기록할지도 모른다. 지방자치제 부활 이래 분권과 균형은 도전받지 않는 대의(大義)였다. ‘지방분권 vs 중앙집중’이 마치 선악 논쟁 같은 뉘앙스를 풍겼다. 서울을 더 키우자는 목소리가 없지 않았으나 소수의견으로 치부됐다. 구도가 그랬다. 서울이 좁다고 하면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던진 ‘행정수도 이전’은 이런 흐름의 집약판과도 같았다.
- 여성동아
- 매거진동아이연복 셰프가 친구 모임에 안 나가는 이유이연복 셰프가 한 TV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친구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다. 이 셰프에게는 30년 가까이 만나온 친구 모임이 있었다. 이 셰프가 유명해지고 난 후 친구 모임에서 2차를 갔을 때 “2차는 누가 돈을 내냐”라는 말이 나왔다. 이 셰프는 2차는 자기가 내겠다고 했는데, 그 말을 듣고 한 친구가 “왜 네가 2차를 쏘느냐”며 멱살을 잡았다. 결국 싸움이 났고, 그 후 이 셰프는 모임에 나가지 않는다고 했다. 오랜 친구 모임이 2차 회식비를 내느냐 마느냐 문제로 깨지고 만 것이다. 하지만 2차 회식비를 누가 내느냐가 진짜 원인은 아니다. 이 셰프가 유명해진 것에 대한 시기·질투가 진짜 문제였다. 친구 모임에서 왜 네가 돈을 다 내느냐고 따지는 건 그 사람에게 시기나 질투, 콤플렉스가 있다는 방증이다.
- 동아사이언스
- IT동아
- 브랜더쿠
요일별연재
추천영상
오피니언
- 이헌재의 인생홈런사라예보 50년 이에리사 “만보 걷기로 몸과 마음의 여유”이헌재 스포츠전문기자
- 광화문에서싱가포르에 뜬 로봇개 ‘스팟’… 생산혁명의 상징이 돼주길김창덕 산업1부 차장
- 바람개비정동 옛 미국공사관전승훈 기자
- 김동엽의 금퇴 이야기퇴직하면 건강보험료는 얼마나 내야 할까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 횡설수설‘유럽 흑사병보다 더 심각할 수 있는 한국 저출산’송평인 논설위원
- 고양이 눈떠나보자!이한결 기자
- 어떤 육아 일기육아는 고통스러운 일일까박지헌 그룹 VOS 리더·6남매 아빠
- 내가 만난 名문장간단히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꽃님 아동청소년 문학가
- 오늘과 내일尹, 왜 투표 날까지 엑스포 대패 몰랐나윤완준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