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중국인 입국금지’ 청원에…‘의사 없다’ 재확인

  • 동아닷컴
  • 입력 2020년 3월 20일 16시 50분


코멘트
청와대는 20일 중국인의 입국을 금지해달라는 청원에 대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한 우려와 불안을 엄중히 받아들인다”면서도 현재로서는 금지할 의사가 없다고 재차 밝혔다.

강정수 청와대 디지털소통센터장은 이날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인의 입국을 금지해달라’는 청원과 관련해 “중국인 입국금지 요청에 대해선 지난달 27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답변을 드린 바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중국인 입국금지 청원은 올 1월 23일 게시판에 올라왔다. 76만1833명의 동의를 얻어 답변 기준인 20만 명을 넘어섰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달 27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정부가 중국인 입국을 전면 금지하지 않는 것은 방역의 실효적 측면과 국민의 이익을 냉정하게 고려한 것”이라며 5가지 이유를 들었다.

5가지 이유는 ▲방역당국의 특별입국절차가 실효적으로 작동하는 점 ▲중국인 입국자가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점 ▲중국인 입국자 수가 감소한 점 ▲중국 내 확진자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든 점 ▲봉쇄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가이드라인 등이다.

강 센터장은 “정세균 국무총리 등이 정부의 입장을 여러 차례 말씀드렸다”며 “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건강은 다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사안’이라고 인식하고, ‘국민 안전에는 타협이 있을 수 없다’는 각오로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는 지난달 4일 0시를 기해, 14일 이내에 후베이성을 방문했거나 체류한 모든 외국인의 입국을 전면금지했으며 제주지역 무비자 입국제도 운영을 일시 중지했다”며 “또한 ‘특별입국절차’를 통해 중국에서 들어오는 모든 내외국인을 철저히 파악하고 입국을 최소화하는 조처를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위험 지역발 입국자를 면밀히 관리하고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도 구축했다”며 “이를 통해 중국 등 위험 지역발 입국자들을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