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박진규는 왜 ‘박생강’이 되었나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11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왕성한 활동 중에 인지도 하락 위험 무릅쓰고 필명 사용

소설가 박생강으로 새롭게 태어난 박진규 작가가 자신의 이름이 적힌 팻말을 들고 있다. 원래 신작 장편소설 ‘나는 빼빼로가 두려워’라고 적혀 있었지만 작가의 양해를 구해 이름으로 바꾸었다. 열린책들 제공
소설가 박생강으로 새롭게 태어난 박진규 작가가 자신의 이름이 적힌 팻말을 들고 있다. 원래 신작 장편소설 ‘나는 빼빼로가 두려워’라고 적혀 있었지만 작가의 양해를 구해 이름으로 바꾸었다. 열린책들 제공
“박진규는 소설가 이름치곤 조금 고루한데….”

등단 10년 차 소설가 박진규 씨(37)는 이름이 불만이었다. 그는 2005년 ‘수상한 식모들’로 문학동네 소설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이후 장편소설 ‘내가 없는 세월’ ‘보광동 안개소년’ ‘교양 없는 밤’을 출간하며 소설가로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정작 자신은 스스로 소설가란 사실이 실감이 나지 않았다.

박 씨는 “필명을 만들면 소설가로 살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독자들이 그를 이름이 비슷한 소설가 박민규, 같은 문학동네 소설상 출신 김진규와 혼동하는 일도 있었다. 그는 우연히 대형 서점에 들렀다가 건강서적 매대 위에서 ‘여자는 생강이 전부다’란 책을 발견했다. 생강이란 단어가 주는 느낌이 좋아 충동적으로 필명을 ‘박생강’으로 정했다. 그는 “좀 더 욕심을 낸다면 ‘생각의 강’, 성자(saint)와 악당(gang)의 혼성 같은 심오한 의미로 받아들여 주기도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필명 박생강으로 낸 첫 소설은 ‘나는 빼빼로가 두려워’(열린책들)다. 빼빼로포비아를 가진 남자친구를 둔 시나리오 작가 지망생이 심리 상담소를 찾아오며 시작된 이야기는 메타소설 형식으로 소설 속 가상소설과 현실을 넘나들며 흥미롭게 펼쳐진다. 인간 박진규와 소설가 박생강으로 두 가지 인생을 살기로 결심한 그와 닮았다. 새로 태어난 박생강은 ‘현대 사회에 수없이 쏟아지는 세속적 물신의 기호와 전통적 문학의 기호를 믹스 앤드 매치하는 소설’을 써갈 계획이다.

필명으로 데뷔하는 일은 문단에 왕왕 있지만 왕성한 활동 중에 필명으로 바꾸는 일은 그보다 드물다. 소설가 심상대(54·사진)는 2000년 소설 ‘떨림’을 펴내며 필명을 ‘마르시아스 심’으로 바꾸었다. ‘제우스의 아들 아폴론에 맞서 예술을 겨루고자 했던 신화 속 예술가처럼 외롭고 불우하지만 자신의 예술 앞에서 도도해지겠다’는 포부를 담은 필명이다. 이후 필명을 ‘선데이 마르시아스 심’으로 한 번 더 바꾸었지만 지금은 다시 심상대로 활동하고 있다.

세상은 그의 필명을 잘 불러주지 않은 탓이다. ‘마르시아스 심’으로 신문사에 칼럼을 보내면 ‘심상대’로 게재되는 식이었다. 그는 “많은 사람이 날 냉소적 장난질과 괴상스러운 자학에 빠진 소설가 ‘심상대’로 인식하고 있었다. 문학인들까지 내 필명에 대해 실실 웃으니 뻗댈 수가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직적 권위가 지배하는 사회 분위기를 마르시아스라는 민주적 사고의 예술가가 넘어서지 못한 탓이다. 혁명의 기개가 부족한 제 탓”이라고 했다.

필명을 쓰려면 기존 인지도를 포기해야 하는 용기도 필요하다. 유명 문학상을 받기도 한 젊은 작가는 오로지 자신이 쓰고 싶은 이야기를 쓰고 싶다며 ‘최순결’이란 필명으로 소설 ‘4월의 공기’(곰)를 3월 출간했다. 당시 출간을 담당한 소설가 김도언은 “그 작가가 실명으로 책을 출간할 때보다 절반 정도만 팔렸다. 필명을 쓰면 인지도를 활용 못하는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소설가 김도언도 내년 여름 시집을 출간할 때는 시인 ‘황이리’란 필명으로 낼 계획이다. 그는 “헤르만 헤세의 ‘황야의 이리’에서 따왔다. 내가 쓴 소설과 연결짓지 말고 시만 봐달라는 뜻에서 필명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우리 익히 아는 유명 문인 중에도 본명은 따로 있는 경우가 많다. 고은(고은태) 김사과(김방실) 김지하(김영일) 류시화(안재찬) 박노해(박기평) 신경림(신응식) 유하(김영준) 이인화(류철균) 전경린(안애금) 정이현(홍종현) 황석영(황수영) 등이다. 선배 문인과 이름이 같으면 후배가 필명을 쓰는 일은 문단의 ‘예의’라고 한다. 시인 안찬수는 안도현과, 소설가 김숨은 김소진과 이름이 같아서 바꾸었다고 한다.

박훈상 기자 tigermask@donga.com
#박진규#박생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