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파기에 대해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대외적으로 군사안보 협력을 개시하거나 중지하는 것은 주권 국가의 자주적 권리”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지역 평화와 안정,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추진에 도움이 돼야 하며 제3자의 이익을 해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이 노골적으로 나서진 않았지만 한일 협정 파기를 계기로 한미일 동맹의 틈새를 파고들 가능성도 없지 않다. 올해 안으로 예상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통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치들을 풀면서 한중 관계에 변화를 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런 기류를 감안한 듯 미국 CNN방송은 “한일 균열이 북한에 대응하는 안보 협력을 약화시키고 잠재적으로 중국에 승리를 안겨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19-08-24 07:46:51
중공은 아갈닥 해하.
2019-08-24 10:44:23
중국은 입닥쳐라. 남의나라 내정과 외교에 간섭하지마라. 중국은 자국민 인권 개선과 홍콩 자치나 인정해라. 대만의 최신무기 구입에 지지 입장을 펴라 대만도 자국의 안보강화에 최신무기 도입은 당연한 것이다. 한입으로 두말하지마라!
2019-08-24 10:49:15
그래서 문정부의 외교정책은 사북(事北) 복중(服中) 반미(反美) 배일(排日)이다. 그런 DNA를 타고 났으니 어쩔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