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방위성 엉터리 지도…북한 위성 잔해 낙하예상구역 80㎞ 어긋나

  • 뉴스1
  • 입력 2023년 12월 11일 11시 10분


코멘트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 참석 중인 하마다 야스카즈 일본 방위상이 4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한·일 양자회담을 마친 뒤 회담장을 나서고 있다. 2023.6.4/뉴스1
제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 참석 중인 하마다 야스카즈 일본 방위상이 4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한·일 양자회담을 마친 뒤 회담장을 나서고 있다. 2023.6.4/뉴스1
일본 방위성이 지난달 22일 공개한 북한 군사정찰위성 잔해물 낙하 예고 구역을 엉뚱한 지점에 찍어 논란이 되고 있다.

산케이신문은 이 지도에서 낙하 예고 구역이 실제보다 남쪽으로 약 80㎞ 어긋난 위치에 찍혀 있다고 지리정보시스템(GIS) 분석 결과를 인용해 11일 보도했다.

방위성 관계자는 “엄밀하게 그리지 않았고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일본 방위성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달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발사한 위성은 여러 개로 분리돼 첫 번째 잔해물은 한반도에서 서쪽으로 약 350㎞ 떨어진 동중국해상 예고 낙하 구역 밖에 떨어졌고, 두 번째는 오키노토리섬에서 남서쪽으로 약 1200㎞ 떨어진 태평양 해상의 예고 낙하 구역 안쪽에 떨어졌다.

첫 번째 잔해물이 낙하한 부근에 있는 2개의 예고 낙하 구역에 대해 방위성은 ‘이미지도’라는 제목으로 지도 하나를 공개했는데, 일본 해상보안청이 북한의 통보를 받고 좌표를 찍어 공개한 지도와 비교하면 약 80㎞ 남쪽으로 어긋났다.

북한이 지난 8월 실패한 위성 발사 당시에도 같은 해역에 낙하가 예고돼 역시 약 80㎞ 남쪽으로 빗나갔다.

산케이는 지난해 8월 중국이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을 겨냥해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도 방위성의 지도가 중국으로부터 사전 통보받은 훈련 해역과 비교해 일본 EEZ와 겹치는 비율이 작게 표현돼 있었다고 부연했다.

이 매체는 지도를 애매모호하게 그리면 국민에게 잘못된 정보가 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낙하지점을 자세히 공개하면 자위대의 미사일 포착 능력이 다른 나라에 알려질 수 있지만, 사전에 좌표를 붙여 통보된 낙하 예고 구역이나 훈련 해역은 군사기밀이 아니므로 틀리게 표기할 이유가 없다.

심지어 지난해 8월 중국의 미사일 발사 이후에 공개된 방위성 지도의 경우 지난해 말 각의에서 결정된 안보 3문서 설명자료와 방위백서에까지 들어갔다.

산케이는 “애매한 자료가 일상화되면 방위성의 정보 발신이 신뢰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군사적 도발을 반복하는 다른 나라를 이롭게 할 수도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