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1주년 롯데웰푸드, 글로벌 식품기업 도약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19일 03시 00분


[Food&Dining]
56년 만에 사명 바꾸고 사업 확장
인도-필리핀 등 해외시장서 성과
건강 식문화 선도할 신제품 두각

‘롯데초코파이’는 인도의 초코파이 시장에서 약 9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 있는 제품이다. 사진은 롯데웰푸드 인도 초코파이 광고 영상. 롯데웰푸드 제공
‘롯데초코파이’는 인도의 초코파이 시장에서 약 9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 있는 제품이다. 사진은 롯데웰푸드 인도 초코파이 광고 영상. 롯데웰푸드 제공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가 작년 7월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통합 법인으로 공식 출범한 이후 1년이 지났다. 롯데웰푸드는 종합식품기업으로서의 위상 전환과 글로벌 기업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해 전략을 집중하고 있다.

56년 만에 롯데제과에서 롯데웰푸드로
통합 법인으로서의 롯데웰푸드는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를 거쳐 4월부로 ‘롯데제과’에서 ‘롯데웰푸드’로 사명을 변경했다. 이 같은 사명 변경을 통해 제과 산업에 한정됐던 사업 영역의 확장성을 담보하고 글로벌 기업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롯데웰푸드는 영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생애주기에 맞춘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 연령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는 종합식품기업 이미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제과’ 대신 ‘푸드’를 사용했다. 또 소비자에게 ‘웰빙’ ‘웰니스’가 연상되는 ‘웰’이란 키워드를 활용해 더 나은 먹거리와 행복한 삶을 고객에게 전달하고 건강한 식문화를 선도하는 기업이라는 의미도 강조했다.

글로벌 일류 기업으로 확장
롯데웰푸드 인도 초코파이
롯데웰푸드 인도 초코파이
롯데웰푸드는 작년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통합 법인 설립 이후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작년 롯데웰푸드의 IR 자료에 따르면 해외 사업의 매출액은 2022년 7952억 원을 달성하며 2021년 대비 약 23.5% 성장했다. 영업이익 또한 434억 원으로 2021년 대비 약 16.9% 신장했다. 롯데웰푸드는 인도, 카자흐스탄, 파키스탄 등 8개국에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인도는 롯데인디아, 하브모어 등 두 개의 해외법인을 운영하며 롯데웰푸드 해외 사업의 핵심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2004년 인도의 패리스를 인수하며 롯데인디아로 사명을 변경해 국내 식품 기업으로는 가장 먼저 인도에 진출했다. 이후 첸나이와 델리에 대규모 초코파이 공장을 설립하고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롯데초코파이’는 인도의 초코파이 시장에서 약 9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 있는 제품으로 성장하며 연간 약 400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한 예로 인도 현지의 고속철도에서는 아침 식사를 주문할 경우 승무원이 롯데초코파이가 포함된 아침 식사를 나눠줄 정도로 인기가 좋다. 인도 시장에서의 폭발적인 인기 비결은 현지인들의 문화와 입맛에 맞는 품질과 마케팅 노력의 결과다. 제품에 있어서도 마시멜로에 사용되는 동물성 젤라틴을 식물성 원료로 대체해 채식주의자용 초코파이로 개발한 것도 현지화의 성공 원인 중 하나로 꼽는다.

롯데웰푸드는 인도에 올해 9월경 세 번째 생산 라인 증설을 완료할 예정이어서 기대가 크다. 이로 인해 롯데초코파이의 수요를 충분히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롯데인디아 매출은 2022년 약 929억 원에 달해 2021년 대비 약 39% 상승했다. 인도 시장에서 아이스크림 사업도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17년 롯데웰푸드는 현지 기업인 하브모어를 인수해 롯데의 인지도를 높였다. 이를 통해 인도 서북부 지역에서 아이스크림을 제조, 판매하고 있는데 현지 반응이 뜨겁다. 특히 하브모어에서 생산하는 제품 이외에 롯데웰푸드의 핵심 제품인 월드콘, 설레임을 시장에 도입하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며 인도 아이스크림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브모어는 2022년 약 1544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2021년 대비 40%에 육박하는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롯데웰푸드는 하브모어에 5년간 700억 원을 투자하며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푸네시에 위치한 MIDC 탈레가온에 새로운 생산 시설을 설립할 계획이어서 차후 큰 실적이 기대된다.

롯데웰푸드의 ‘K-푸드’ 확산 전략은 빼빼로를 통해서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최근 필리핀의 최대 창고형 멤버십 체인인 ‘S&R’과 손잡고 한국 식품 업계 최초로 판매 활성화를 위한 협약식을 진행했다. 해당 협약식을 통해 롯데웰푸드의 빼빼로를 비롯해 우수한 제품을 필리핀과 동남아 현지에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롯데웰푸드는 ‘빼빼로데이’ 문화를 전 세계로 확대하기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11월 11일 빼빼로데이에 맞춰 글로벌 통합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해왔다. 해당 캠페인은 국내와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해 일체화된 모습을 보였다. 작년엔 카자흐스탄, 대만, 필리핀, 싱가포르 등 5개국에 영어 및 현지 언어로 번역, 공개해 통일된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빼빼로의 필리핀 수출 실적은 2022년 약 73억 원으로 2021년 대비 약 59% 신장할 정도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헬스앤웰니스로 선도하는 식품기업
롯데웰푸드 제로 브랜드 광고.
롯데웰푸드 제로 브랜드 광고.
롯데웰푸드는 합병 이후 ‘헬스앤웰니스’를 주요 어젠다로 수립하고 브랜드 육성과 매출 확대를 위한 전략을 펼쳐 나가고 있다. 이는 건강을 중요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함에 따른 것이다.

롯데웰푸드가 내세우는 헬스앤웰니스 전략을 통해 소비자에게 선보인 브랜드는 무설탕 디저트 브랜드 ‘제로’와 ‘의성마늘 닭가슴살 소시지’ 등이 있다.

롯데웰푸드는 무설탕 디저트 브랜드 제로를 선보이며 출시 6개월 만에 300억 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달성하는 등 제로 슈거 시장에서 두각을 내고 있다. 브랜드 출시부터 지난 4월까지 누적 판매 수량은 약 2000만 개를 돌파할 정도로 반응이 뜨겁다. 이는 우리나라 인구 약 5156만 명 기준(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2023년 인구수 기준)으로 2인당 약 1개씩 먹은 셈이다. 최근 4월경에는 새롭게 빙과 3종까지 출시하며 과자류 4종과 빙과류 4종으로 라인업을 확대하며 제로 브랜드 운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 롯데웰푸드는 지난 6월 고단백 닭가슴살 소시지인 의성마늘 닭가슴살 소시지를 출시했다. 이 제품 또한 건강함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원료육으로 오직 닭가슴살만 사용해 단백질 함량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프랑크 제품의 경우 1팩당 단백질 함량이 22g으로 1일 기준치의 40%를 충족한다. 국내산 닭가슴살에 의성마늘을 넣고 12시간 이상 저온 숙성해 닭고기 특유의 잡내 없이 깔끔한 맛을 담았다. 또 닭가슴살을 갈지 않고 큼직하게 썰어 넣었기 때문에 씹는 맛도 좋아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향후 헬스앤웰니스 전략을 바탕으로 건강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제로, 의성마늘 닭가슴살 소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브랜드를 계속 선보일 예정이다.

#food&dining#롯데웰푸드#롯데초코파이#빼빼로데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