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전 위원장은 5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지난 4월 1일 중앙위원회에서 ARS투표를 통해 84.4%의 찬성을 얻어서 제가 비대위원장이 됐다. 그때 당대표 격으로 선출됐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원들의 투표로 비대위원장으로 확정됐는데 이것은 곧 그때 제가 피선거권을 부여받았다고 저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래서 유권해석을 다시 해주셔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며 “한 번 부여받은 피선거권이 없어진다는 조항도 없고 당에서 피선거권을 박탈당한 적이 없기 때문에 지금도 유효하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민주당은 사당이 아니다. 공당으로서 절차와 규정을 준수해달라”며 “당 지도부는 명확한 유권해석을 해달라. 다른 언급이 없으면 국민께 약속한 대로 후보등록을 하겠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당이 비상 상황에 처해 있을 때 한번 생각해 보시면 (비대위원장을) 당내에서 하느냐 아니면 밖에서 모셔 오냐 이런 애기 많이 하지 않나”라며 “비대위원장은 당원 자격이 필요하지 않다. 가장 대표적인 게 김종인 전 위원장 같은 경우”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박 전 위원장이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남국 의원 사례를 언급한 것에 대해 “공직후보자 같은 경우 당헌당규상 전략 공천이라는 게 있다”며 “비대위원장은 임명직이고 이런 당직, 당대표는 당헌당규상 6개월 (당원 자격) 그걸 딱 채워야 된다는 게 있기 때문에 경우가 완전히 다르다”고 반박했다.
또 조 의원은 전날 박 전 위원장이 ‘민주당 지도부는 폭력적 팬덤정치로 쪼그라드는 길을 선택했다’고 비판한 것에 대해 “너무 나가신 것 같다”며 “자기한테 예외를 인정 안 해 준다고 폭력적 팬덤이다(라는 것은) 너무 나간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조 의원은 “나 아니면 안 된다. 왜 다들 이런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박 전 위원장도) 이재명 의원도 그렇고 왜 다 이런 생각을 할까”라고 지적했다.
두가온 동아닷컴 기자 ggga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