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비서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 배상금을 “밀린 화대(花代)” 운운한 사실도 있다. 동성애를 “정신병의 일종”이라고 했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를 ‘평강공주’에 빗댄 칼럼을 쓰기도 했다. 종교다문화비서관은 시민사회수석실을 확대하며 신설된 조직이다. 종교계와의 소통을 늘리고 갈수록 비중이 커지는 다문화 관련 업무를 챙기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대체 누가 이처럼 편향된 인식, 품격 떨어지는 언사를 해온 인물을 대통령실 비서관으로 추천했던 건가.
이시원 공직기강비서관을 놓고도 뒷말이 많다. 공직기강비서관은 고위공직자 인사 검증과 복무 점검, 직무 감찰 등의 역할을 맡는다. 이런 중요한 자리에 굳이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 담당 검사로 정직 1개월 징계를 받은 전력이 있는 인물을 앉힌 이유를 도무지 알 수 없다. “아연실색했다”는 사건 피해자의 반발을 떠나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간첩 사건의 국가정보원 위조문서를 걸러내지도 못한 사람이 ‘공직기강’ 업무인들 제대로 할 수 있겠나.
이, 윤 비서관도 그 자리의 무게를 감당하기에는 충분한 자격을 갖췄다고 보기 어렵다. 부적격 비서관을 과감하게 솎아내는 동시에 인사 추천 및 검증 시스템에 문제가 없는지 다시 한번 점검하길 바란다. 권력을 쥔 쪽은 스스로를 향해 더 엄정한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 그래야 영(令)이 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