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신재생에너지 총량제’ 도입 검토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5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풍력-태양광 발전으로 전력 과잉
정전 우려로 출력제한 횟수 급증
“현실에 맞는 보급총량 설정 필요”

제주도를 ‘탄소 없는 섬(Carbon Free Island·CFI)’으로 조성한다는 야심 찬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 시설 증가로 신재생에너지 전력 수용 범위가 넘어서면서 태양광 전력 송출과 풍력발전 가동 중단 횟수가 늘고 있다. 이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총량제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제주도는 2015년 5월 LG그룹과 ‘글로벌 에코 플랫폼 제주’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신재생에너지만을 사용하는 CFI 실현을 위한 공동 사업을 하기로 했지만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당시 풍력 및 태양광 발전을 보완하기 위해 신재생 기저발전원과 안정적 전력 공급 및 전력망 운용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확충하기로 했다. 발전기 통합과 전력망 운영체제를 수립하고 제주지역 운행 차량을 모두 전기자동차로 바꾸기로 했다.

2030년까지 풍력발전은 2.35GW(기가와트), 태양광은 340MW(메가와트) 수준으로 각각 늘려 제주지역 전력수요량의 85∼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고 밝혔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이는 태양광과 풍력발전 등으로 얻은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술력이 아직 제대로 확보되지 않은 점도 있지만, 치밀한 계획 없이 신재생에너지 용량을 늘리는 데 급급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속도에 비해 ESS 등 관련 기술이 뒤따르지 못하자 올해 하반기 9500만 원을 들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총량제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시행한다.

제주지역 가용 전력설비 용량은 중앙급전(기존 발전소 공급전력) 발전 910MW, 해저연계선 400MW, 태양광 448MW, 풍력 295MW, 기타 발전 28MW 등 모두 2081MW이다. 이 가운데 실제 전력공급이 이뤄지는 재생에너지 발전출력 비중은 16.2% 수준이다.

신재생에너지 생산이 늘어나면서 제주지역에서는 전력이 남아도는 현상이 빚어졌다. 이에 따라 제주지역 풍력발전기 가동을 중단하는 출력제어 횟수는 2015년 3회에서 2017년 14회, 2019년 46회, 지난해 77회 등으로 급증했다. 올해는 3월 말까지 37회를 기록했다.

전기 수급 상황을 고려하면 제주지역 풍력발전 출력 제한 횟수가 올해 201회, 내년에는 240회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출력제한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일시에 폭증해 송·배전망과 전력계통 한계치를 초과해 정전 등의 우려가 나타날 때 내려진다.

신재생에너지 출력 제한으로 인해 발전사업자 손실이 발생하고 발전량 기준으로 배당을 받는 주민소득도 감소했다.

문제는 앞으로도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이 더 늘어난다는 것이다. 현재 제주에서 인허가 절차가 진행 중인 풍력발전 규모는 1165MW, 태양광발전 규모는 309.6MW에 달한다.

제주도 관계자는 “정부도 출력제어 상황을 해소하려고 해저연계선을 거쳐 신재생에너지를 육지로 역송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무분별한 허가보다는 전력계통 수용능력과 전력거래 자유화 등을 감안해 현실에 맞는 보급 총량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제주도#탄소없는섬#신재생에너지총량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