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평균 월급 300만원 넘었다…가장 높은 업종은?

  • 동아닷컴
  • 입력 2021년 2월 24일 13시 06분


지난 2019년 직장인(임금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이 300만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19년 임금 근로 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보수)은 전년 대비 12만 원(4.1%) 증가한 309만 원, 중위소득은 14만 원(6.3%) 증가한 234만 원이다.

통계에 포함된 임금 근로자는 기업체에서 임금을 대가로 받으면서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는 근로자다. 세법상 사업소득자인 보험설계사·택배기사 등 특수형태근로 종사자(특고)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월평균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상인 근로자 비중은 전체의 29.6%를 차지했다. 이는 1년 전(30.6%)보다 1%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상대적 저소득층으로 분류되는 중위소득 50% 미만 근로자는 20.1%로 0.3%포인트 감소했다. 중위소득 50% 이상~150% 미만 근로자는 반대로 1.4%포인트 늘어난 50.4%였다.

소득 구간별로는 150만 원 이상~250만 원 미만이 28.5%로 가장 많았다. 250만 원 이상~350만 원 미만 16.7%, 85만 원 미만 14.9%, 85만 원 이상~150만원 미만 10.2% 순이다. 1000만 원 이상은 2.3%였다.

기업 특성별 소득은 조직형태별로 회사법인(344만 원)과 정부·비법인단체(334만 원)가 가장 높았다. 이어 회사이외법인(322만 원), 개인기업체(178만 원) 순이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 근로자 평균소득이 515만 원으로 가장 높고 이어 비영리기업(327만 원), 중소기업(245만 원) 순이었다.

산업분류별로는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공급업의 평균 소득이 635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금융보험업(618만 원), 국제외국기관(474만 원) 등의 순이었다. 숙박음식점업 근로자 평균 소득은 144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근로자 특성별로 봤을 때 남성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360만 원으로 여성(236만 원)의 1.53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남성은 14만 원(3.9%), 여성은 11만 원(5.1%)이 증가해 격차는 일부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 근로자의 평균소득이 381만 원으로 가장 높고, 50대(357만원), 30대(335만원), 20대(221만 원), 60세이상(207만 원), 19세이하(84만 원) 순이었다. 전년 대비 모든 연령층에서 평균소득이 증가했다.

특히 남자는 40대(442만 원), 여자는 30대(294만 원)에서 평균 소득이 가장 높았다. 평균 소득의 성별차이는 50대(198만 원)에서 가장 컸으며, 19세이하(11만 원)에서 가장 작았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21-02-24 16:30:40

    직장인의 평균 월급이 상승한만큼 기업의 비용증가로 오히려 감원되어 실직자가 된 사람들의 피를 토하는 삶은???

  • 2021-02-24 17:23:43

    월급 오르면 뭐 하냐 물가는 더 올라가는데. 물가 내리는 정책은 없냐. 그런다고 10개 들은 까자 한봉지에 천원하든걸 7개 넣어 천원 받고 물가 안 올랐다 하는 꼼수는 부리면 안되지.

  • 2021-02-24 23:38:15

    구소련 망하고 불가리아에서 백불 환전하니 돈 부피가 약 10 Cm 정도가 되는데 생필품 몇개 사니 돈이 반으로 줄어 들드라고요. 요즘 십만원 액수는 크지만 그십만원 가지고 쓸만 하든가요. 대기업 월급 올라봐야 그사람들은 본전치기고 죽어 나는 사람들은 서민들이야.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