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교생이 실험 설계와 결과 해석은 무리”
조 씨는 2005∼2006년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뒤 2007년 한영외고 해외진학 프로그램(OSP·유학반)에 진학했다. 유학반은 해외 명문 대학 진학을 위한 커리큘럼을 별도로 운영하는데 학생들은 수험 준비 외에 다양한 스펙 쌓기를 병행한다. 조 씨는 2008년경 방학을 이용해 충남 천안시의 단국대 의과학연구소에 가서 논문 활동에 참여했다. 외고 측은 조 씨를 지도할 의대 교수에게 인턴십 목적이 입시를 위한 것임을 알렸다. 논문 제목은 ‘출산 전후 허혈성 저산소뇌병증에서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 유전자의 다형성’으로, ‘허혈성 저산소뇌병증(HIE)’을 앓는 신생아의 유전자를 분석해 질병과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내용이었다.
동아일보가 병리학 전문가들에게 해당 논문 검토를 의뢰한 결과 “숙련된 연구원이면 일주일 정도면 가능한 실험이지만 실험 설계와 결과 해석은 고교생이 스스로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라는 평가가 대다수였다. 논문의 전제가 된 산화질소의 생리적 역할이나 실험에서 실시한 PCR(중합효소 연쇄반응) 개념은 고교 교과과정에 포함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공동 저자 중 한 명인 B 교수는 “논문 작업이 분업화돼 1저자가 누군지 몰랐다. 고등학생이 무슨 장점이 있어서 그렇게 됐는지 잘 모르겠다”고 했다. 조 씨는 논문이 등재된 뒤 1년이 지난 2010년 3월 고려대 이과계열에 수시전형으로 입학했다. 이후 2015년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했다.
○ 책임저자의 아들, 조 후보자의 딸과 고교 동문
문과 계열 특수목적고인 한영외고에 입학한 조 씨가 의대 연구소에서 인턴을 한 배경에도 의구심이 일고 있다. 외고 진학생 중 이과 수업을 듣는 비율은 극히 드물다. 논문 연구를 지휘한 단국대 의대 A 교수는 조 씨와 같은 학년의 한영외고 동급생 아버지였다.
조 후보자 청문회 준비단은 “후보자의 딸이 한영외고 재학 중 기존에 없던 외고 인턴십 프로그램이 개설돼 친구와 함께 지원한 것으로 안다”면서 “후보자 부부가 외고 학부모 모임에서 논문 교수를 마주쳤을 수도 있지만 사적으로 만나거나 논문을 부탁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신동진 shine@donga.com·황성호·김동혁 기자
[김순덕의 도발]미안하지만 文보유국과 비교되는 미얀마
“이재용, 정부에 화이자 회장 연결해줘 협상 실마리”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공감의 힘[벗드갈의 한국 블로그]
오세훈 ‘박원순 장례식 책임자’ 문책인사에…시의회, 이례적 “유감”
오죽하면 1249쪽을 통째로 넘겼을까[오늘과 내일/김승련]
[단독]檢, 공수처 ‘허위 보도자료’ 의혹 본격 수사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