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안’으로 집중호우 2시간전 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2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국내 독자 개발 정지궤도위성, ‘천리안 2A호’ 발사뒤 첫 교신
내년 7월부터 정밀 기상 서비스… 세계 8번째 위성 기술 보유

5일 오전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한국이 독자 개발한 첫 정지궤도위성인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2A호’가 발사됐다(왼쪽 
사진). 오른쪽 사진은 위성이 발사체와 분리된 것을 확인한 후 연구자들이 환호하는 모습. 아리안스페이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5일 오전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한국이 독자 개발한 첫 정지궤도위성인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2A호’가 발사됐다(왼쪽 사진). 오른쪽 사진은 위성이 발사체와 분리된 것을 확인한 후 연구자들이 환호하는 모습. 아리안스페이스·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이 독자 개발한 첫 정지궤도위성인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2A호’가 5일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2011년 개발에 나선 지 7년 만이다. 이로써 한국은 상공 3만6000km 정지궤도에 고정돼 24시간 운용 가능한 3.5t급 위성 기술을 확보한 세계 8번째 국가가 됐다.

천리안 2A호는 이날 오전 5시 37분(한국 시간)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인도의 통신위성 ‘GSAT-11’과 함께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의 우주발사체 ‘아리안 5ECA’에 실려 우주로 올라갔다. 발사 성공 관건으로 꼽히는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했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원장은 “천리안 2A호 독자 개발 경험은 통신위성 등 다양한 정지궤도위성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천리안 2A호의 본체와 각종 시스템은 항우연과 한국항공우주산업, AP우주항공 등 국내 33개 기업과 경희대 등이 공동 개발했다. 조립, 성능시험, 발사 준비도 모두 국내 기술로 이뤄졌다. 기상관측 센서를 모아놓은 기상탑재체만 미국의 위성기업 해리스 제품을 사용했다. 이런 수준의 정지궤도위성 기술을 가진 국가는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인도, 중국, 러시아, 이스라엘 등 7개국 정도다.

천리안 2A호는 2010년부터 운용 중인 ‘천리안 1호’를 대체할 쌍둥이 위성 2기(2A, 2B) 중 하나다. 한반도를 비롯한 중국, 동남아, 호주 등의 기상과 우주 기상을 24시간 관측한다. 1호보다 공간해상도가 4배 향상된 고화질 컬러영상을 10분마다(위험기상 시 2분마다) 지상에 보낸다. 태풍의 경로는 물론이고 강도, 지역별 예상 강우량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올해 8월 말 전국 곳곳에서 시간당 150mm 이상의 국지성 집중호우가 연일 발생하면서 침수, 낙뢰 등 피해가 잇따랐다. 15분에 한 번씩 위성자료가 나왔지만 흑백영상으로는 비구름을 산불로 인한 연기 또는 황사와 구별하기 어렵고 포착되더라도 이동속도가 빨라 기상예보로 쓰일 수 없었다. 하지만 천리안 2A호는 국지성 집중호우도 최소 2시간 전 예측 가능하다.

현재 천리안 2A호는 타원궤도를 따라 서서히 고도를 높이고 있다. 약 한 달 뒤에는 목표 지점인 동경 128.2도, 적도 상공 3만6000km에 도착한다. 기상청은 6개월간의 시범운영을 거쳐 내년 7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해양환경관측위성 ‘천리안 2B호’는 내년 말 발사된다.

지난달 28일에는 한국형발사체(KSLV-Ⅱ) ‘누리호’의 주 엔진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발사체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누리호는 지구저궤도에 1.5t급 실용위성을 올릴 수 있는 우주발사체다. 2021년 2월엔 위성모형을, 10월엔 실제 위성을 누리호로 쏘아 올린다. 이를 바탕으로 항우연은 향후 정지궤도위성을 올릴 대형 발사체도 개발할 예정이다.

기아나=공동취재단·송경은 동아사이언스 기자 kyungeun@donga.com
#천리안#정지궤도위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