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윤종의 쫄깃 클래식感]같은 E단조 음악인데 왜 다른 느낌이 들까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1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음악 방송을 듣다가 ‘베토벤 교향곡 5번 C단조 들려드리겠습니다’ 하는 아나운서의 말에 ‘번호는 알겠는데 C단조는 뭐지…’ 할 때가 있죠.

우리가 노래를 부를 때 자기 목소리에 맞게 음높이를 올리거나 내려 부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클래식 작품은 작곡가가 음높이를 정해 놓습니다. 해당 작품이 장조이고 계이름 ‘도’가 ‘C’음에 올 경우 이 작품은 ‘C장조’가 됩니다. 만약 작곡가가 작곡 도중 마음이 변해 한 음을 높여 다시 쓴다면 이 작품은 ‘D장조’가 됩니다.

어떤 사람들은 조마다 각각의 ‘색깔’ 또는 ‘성격’이 있다고 말합니다. 20세기 초 프랑스 음악학자인 알베르 라비냐크(사진)는 ‘C장조는 단순, 소박, 단조로움’, ‘F장조는 목가적’이라는 등 모든 장단조가 특별한 분위기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죠.

하지만 이런 해석에는 의구심도 듭니다. 브람스의 교향곡 4번,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5번,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9번 ‘신세계에서’는 모두 같은 E단조입니다. 하지만 세 작품의 분위기에는 공통점이 없습니다. 첫 번째 곡은 찬 바람이 불어오는 늦가을처럼 스산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두 번째 곡은 울적하면서 외로운 느낌, 세 번째 곡은 낯선 곳을 휘휘 둘러보는 느낌이랄까요.

더군다나, 음높이 자체도 시대에 따라 바뀌어 왔습니다.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 조금씩 높아졌다고 보아도 되겠습니다. 오늘날의 C음은 모차르트 시대에 비해 반음 높다고 보면 거의 정확합니다. 그렇다면 모차르트의 교향곡 41번 C장조 ‘주피터’를 모차르트 자신은 오늘날의 B장조에 해당하는 음높이로 느끼고 있었다는 말이 되죠. 그런데 모차르트가 느낀 C장조도 ‘단순, 소박, 단조로움’, 우리가 느끼는 C장조도 그와 같은 느낌이라는 얘기는 이상합니다.

얘기가 길었습니다만 24일 인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는 정치용 지휘 인천시립교향악단이 19세기 말 세 곡의 ‘위대한’ E단조 교향곡 중 하나인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5번을 연주합니다. 첼리스트 마르틴 뢰어가 ‘역시’ E단조인 엘가의 첼로 협주곡을 협연합니다. 들으면 느끼시게 되겠지만, 조가 같아도 두 곡의 분위기는 매우 다릅니다.

유윤종 기자 gustav@donga.com
#베토벤 교향곡 5번 c단조#c단조#d장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