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상/원지수]“이 산이 아닌가벼”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7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원지수 제일기획 카피라이터
원지수 제일기획 카피라이터
소설가 김영하 씨의 산문집 ‘말하다’에는 그가 대학 시절 학군후보생을 중간에 그만둔 때의 일화가 나온다. 당시엔 학군단을 거쳐 장교로 임관하면 전역과 동시에 대기업으로의 취업이 보장되었다는데, 그 꿀보직을 그만둔다니 당연히 주변은 발칵 뒤집혔다. “지금까지 해온 게 아깝지도 않냐?”는 동기들의 말에, 미래의 베스트셀러 작가 김영하 군은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아니, 앞으로 살아갈 날이 더 아까워. 이 길은 내 길이 아닌 것 같아.”

후, 멋지다. 20대 초반에 ‘내 길’을 찾겠다며 대차게 돌아서는 저 담대함. 사실 미래를 낙관할 수 있었다는 그때나 그렇지 못한 지금이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내 길’을 찾기 위한 시간은 초조하기만 한데, 그것은 우리 사회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켜지는 스톱워치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 애가 돌도 안 됐는데 벌써 걸어요!” 째깍. 째깍. “우리 반에 벌써 6학년 수학을 푸는 신동이 있어요!” 째깍. 째깍. “옆집 애는 세 살인데 영어로 노래를 한다고요!” 째깍. 째깍.

어릴 적 위인전을 보면 모차르트는 세 살에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고, 율곡 이이는 세 살 때 마당에 열린 석류 열매를 보고 시를 읊었다며 너희도 보고 배우라 한다. TV 속 영재 발굴 프로그램과 거리의 영어 유치원 홍보물은 ‘벌써’ 무엇 무엇을 해내고 ‘빨리’ 남달라진 누군가를 찬양하기에 바쁘다. 그뿐인가. 대학은 ‘재수 없이’ 한 방에, 취업은 ‘칼졸업’ 후 바로, 결혼은 ‘적령기’에 남부럽지 않게, 승진은 최대한 ‘남들보다’ 빨리. 더 이상 위인전을 읽지 않는 오늘도, 우리의 가슴을 애태우는 속력의 훈장들은 많고도 많다.

사실 ‘이 산이 아닌가벼’ 하는 생각은 누구나 가끔씩 한다. 그것에 적극적으로 귀를 기울이고 행동하기에 시간은 늘 모자라고 시작은 늘 막연할 뿐이다. 모처럼 작동한 고민의 GPS는 종종 더 중요해 보이고, 더 빨리 끝낼 수 있는 오늘의 일들에 밀려 금세 다시 꺼져버린다. 꾸준히 속력은 높였으되 스스로 방향을 찾아본 경험이 적은 우리에겐 확실하지 않은 내 감을 믿는 것보다는 속도 하난 확실한 길을 가는 것이 마음 편하다.

자기 안의 목소리를 ‘들어준다’는 건, 그래서 스스로에 대한 신뢰가 필요하다. ‘처음에는 막연했지만, 그 생각을 믿고 행동했을 때 결국 더 좋은 결과가 나오더라’는 경험적 믿음. 그렇기 때문에 더 자주, 더 적극적으로 ‘이 산이 아닌가벼’를 해 보아야 하는 게 아닐까. 내면의 생각과 마주 앉아 대화를 하고, 머리채 붙잡고 싸워도 보면서 고민의 근육을 늘리는 거다. 언젠가 ‘저 산으로 한번 가 보면 어때’ 하는 생각이 들었을 때 스스로 납득하고 믿어줄 수 있는 힘을.

“앞으로 뭐가 될지 확실히 알 수는 없었지만 적어도 그런 삶은 아닐 거라는 막연한 확신이 있었습니다. … 만약 제가 내면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그냥 여름 훈련에 참가하고 장교로 임관했더라면 어떻게 됐을까요? 뭐든 됐겠지만 아마 작가는 되지 못했을 겁니다.”(김영하, ‘말하다’ 중에서)

이 산이 아닌 것은 몇 번이든 괜찮다고 생각한다.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을 때, 하루바삐 이 산을 내려가 다시 저 산에 오르지 않으면 큰일 날 이유 또한 없다. 내 길을 찾는다는 것이 꼭 ‘모든 것을 내려놓고 맨주먹으로 일궈낸 대단한 무언가’일 필요는 없지 않나. 현실의 그릇 안에서 타협한 비빔밥도 괜찮고, 궤도를 수정해 가며 적절히 머무를 정거장을 찾아도 좋다. 중요한 건 지금 내가 내 길을 향해 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시계는 영원히 방향을 모른다.
 
원지수 제일기획 카피라이터
#소설가 김영하#산문집 말하다#이 산이 아닌가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