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국 상황의 엄중함을 깨닫지 못한 박 대통령의 책임이 크다. 지난달 25일 박 대통령이 비선 실세 최순실 씨의 국정 개입을 사실상 시인한 뒤 거국내각 또는 책임총리 요구가 들끓은 것은 박 대통령에게 더 이상 국정을 맡길 수 없다는 공감대가 퍼져서다. 대통령비서실장조차 “봉건사회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한 대통령 연설문 수정을 최 씨에게 맡긴 사실이 드러났다. 국가 주요 정책과 기밀이 담긴 문서까지 넘겨 대통령이 ‘도움’을 받은 정황도 드러났다. 국민이 박 대통령의 권위와 정권의 정당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지만 그래도 헌정 중단은 안 된다는 공감대는 있었다. 그래서 여야 모두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총리가 국정을 주도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인데, 박 대통령은 야당은 물론이고 여당과의 협의도 없이 덜컥 개각을 발표해 판단력을 의심케 만들었다.
야당의 반발은 당연하다. 오죽하면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총리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등 여당 내 비박(비박근혜)계까지 반발에 가세하겠는가. 김 총리 후보자가 어제 기자회견을 취소하고 오늘 책임총리로서의 국정운영 방안이나 야당의 청문회 거부에 대한 입장을 밝히겠다고 한 것도 정국이 급변한 것을 알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이 추락하는 지지율과 국민의 비판에도 잘못을 깨닫거나 교훈을 얻지 못하고 죽어도 통치스타일을 바꾸지 못하는 모습이 안타깝다.
여소야대 상황에서 야권이 끝내 인사청문회를 거부한다면 김 총리 임명은 불가능하다. 차라리 김 총리 지명을 철회하고 다시 국회, 특히 야당과 상의하는 절차를 밟는 게 현명하다. 지금은 대통령의 체면을 따질 계제가 아니다. 그렇지 않고 괜한 고집을 부리다 실기(失期)하면 그땐 하야하라는 외침을 막아내기 어려울 것이다.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이언주 “백신 1호 접종 구경만 한 文, 아직 신분사회인가?”
- [단독]‘이용구 폭행사건 지휘’ 서초署 간부, 휴대전화 데이터 삭제 정황
홍준표 “아직도 문재인 세상…정신 못차리는 국민의힘”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