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2%뿐인 65세이상, 진료비 비중은 37%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2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21조 넘어… 빈곤율은 OECD 1위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가 사용한 건강보험 진료비가 20조 원을 돌파했다. 1인당 진료비는 다른 연령대의 3배가 넘었다. 하지만 고령자들의 소득과 재산 분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이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해 심사한 건강보험 진료비 58조170억 원 중 65세 이상이 사용한 진료비는 21조3615억 원(36.8%)이었다고 24일 밝혔다. 건강보험 적용자 중 65세 이상의 인구수는 12.3%에 불과했지만 1인당 진료비는 343만 원으로 전 연령대(108만 원)보다 훨씬 많았다.

고령자 진료비의 증가세는 다른 연령대보다 가파르다.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 46조760억 원에서 지난해 25.9% 올랐지만 고령자 진료비는 같은 기간 44% 올랐다. 심평원은 고령자 수 자체가 증가할 뿐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기 때문에 고령자 진료비의 비중이 앞으로 계속 늘 것으로 내다봤다.

고령자들이 병원에 입원한 가장 큰 이유는 백내장(19만 명), 폐렴(8만 명), 뇌경색(8만 명)이었고 외래진료 사유는 고혈압(242만 명), 치은염·치주질환(197만 명), 급성기관지염(174만 명) 순으로 많았다. 전 연령대에서는 폐렴 입원 환자와 급성기관지염 외래 환자가 각각 가장 많았다.

고령자의 병원비 부담은 해마다 늘고 있지만 주머니 사정은 선진국에 비해 좋지 않다. 여유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이 OECD 34개 회원국 중 미국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등 20개국의 연령별 재산 분배율을 분석한 결과 65∼74세 한국 고령자의 재산은 전 연령대 평균을 100으로 놓고 볼 때 절반 이하인 45였다. 75세 이상 독신은 33.8로 극히 낮았다. 미국은 65∼74세가 100, 75세 이상이 105였다.

한국 고령자는 소득을 기준으로 한 노인빈곤율 통계에서 수년째 OECD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자들이 부동산은 많이 갖고 있다’는 통념과 달리 소득도 재산도 적다는 얘기다.

조건희 becom@donga.com·임현석 기자
#노인#진료비#빈곤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