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공유
읽기모드공유하기
동아일보|스포츠

[베이스볼 비키니]탈G 효과? ‘탈잠’ 효과!

황규인 기자 페이스북 fb.com/bigkini
입력 2015-09-24 03:00업데이트 2015-09-24 03:00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탈G 효과’ 비밀은 ‘탈잠 효과’에 숨어 있습니다. 프로야구 LG 유니폼을 벗어서(脫)가 아니라 잠실구장을 벗어나기 때문이라는 말씀입니다. 잠실은 커도 너무 큽니다. 가운데 담장(125m)을 기준으로 잠실보다 큰 메이저리그 구장은 네 곳밖에 되지 않습니다.

큰 구장은 거포 유망주를 잡아먹습니다. 다른 구장에서는 홈런이 될 타구도 잠실에서는 평범한 뜬공으로 끝나는 게 다반사이기 때문입니다. 잠실을 14년째 안방으로 쓰고 있는 LG 박용택(36)은 “잠실은 젊은 타자들이 담장을 넘겨보고 싶다는 유혹에 빠져들게 만든다. 하지만 잠실에서는 홈런 타자가 되기 쉽지 않다. 버릴 건 버려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잠실 탓에

메이저리그에서는 구장이 선수에게 끼치는 영향을 ‘구장 효과’라는 말로 정리합니다. 2013∼2015년 국내 프로야구 9개 구장의 ‘홈런 효과’를 계산해 보면 잠실은 76.2(%)로 단연 최하위. 홈런이 평균보다 4분의 3(75%) 정도로 줄어드는 겁니다.

홈런이 줄면 OPS(출루율+장타력)도 줄어듭니다. 올 시즌 내내 OPS 1위를 달리고 있는 NC 테임즈(29)도 잠실에서는 OPS가 거의 반토막이 납니다. 홈런 1위 넥센 박병호(29) 역시 잠실에서는 힘이 빠집니다. 올 시즌 탈G 효과를 증명하고 있다는 kt 박경수(31)나 SK 정의윤(29)도 비슷합니다.

그래서 김동주(39·전 두산)가 아깝습니다. 16년 동안 잠실을 안방으로 쓴 김동주는 잠실에서 통산 OPS 0.880, 다른 구장에서 0.971이었습니다. 잠실(131홈런)에서는 29타석당 홈런이 하나였는데 나머지 구장(142홈런)에서는 홈런 1개를 추가하는 데 20타석이면 충분했습니다. 통산 273홈런(9위)을 쳤으니 다른 구장을 안방으로 썼다면 김동주는 삼성 이승엽(39)보다 먼저 400홈런을 쳤을지도 모릅니다.

○ 잠실 덕에






그런 점에서 ‘버릴 건 버려야 한다’는 박용택은 남다릅니다. 박용택의 통산 잠실 OPS는 0.829로 나머지 구장(0.799)보다 높습니다. 두산 김현수(27)도 비슷합니다. 김현수의 OPS는 잠실에서 0.899, 나머지 구장에서 0.884였습니다.

레이저는 그 이유를 알고 있습니다. ‘애슬릿 미디어’에서 운영하는 ‘트랙맨’은 군사용 레이저 기술로 타구 방향, 속도, 비거리 등 27개 정보를 수집합니다. 애슬릿 미디어 관계자는 “박용택은 넓은 외야 곳곳으로 라인드라이브 타구(정타)를 날리는 스프레이 히터다. 잠실에 최적화된 타자”라며 “김현수도 박용택만큼은 아니지만 비슷한 유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박용택 말처럼 환경을 탓할 게 아니라 극복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 부분에서는 막내 구단 kt가 한발 앞서 가고 있습니다. kt는 안방 수원구장 기류를 분석해 홈플레이트에서 왼쪽 담장 쪽으로 바람이 자주 분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오른손 타자에게 유리한 구조인 거죠. 실제로 수원에서는 오른손 타자 OPS(0.837)가 왼손 타자(0.781)보다 높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는 왼손 타자 OPS(0.793)가 오른손 타자(0.783)보다 높습니다.

LG 시절 박경수는 한 시즌 최다 홈런이 8개밖에 되지 않았던 ‘노망주(늙은 유망주)’였습니다. 그를 영입하면서 kt 조범현 감독이 “20홈런을 칠 수 있다”고 큰소리쳤던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었던 겁니다.

황규인 기자 페이스북 fb.com/bigkini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댓글 0
닫기
많이 본 뉴스
최신뉴스
베스트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