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美 금리인상 유예, 한국은 가계부채 관리 서둘러야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9월 19일 00시 00분


코멘트
인상이냐, 동결이냐를 놓고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던 미국의 기준금리가 일단 동결됐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현재의 0∼0.2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12월 택한 ‘제로 금리’에서 벗어날지가 초미의 관심사였지만 미국은 본격적인 출구전략 가동 시점을 늦추기로 결정했다. 어제 국제 금융시장은 안도하는 분위기였고 한국 증시의 코스피도 1,995 선으로 올라 다시 2,000 선에 육박했다.

미국의 금리 동결 결정은 저물가라는 내부 변수 외에 글로벌 경기 악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도 “최근 해외 경제 전망이 더욱 불확실해졌으며 중국과 신흥시장 경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금융시장에 불안정성을 야기하고 있다”고 ‘진통제’ 처방의 배경을 설명했다. 연준이 해외 변수를 감안한 것은 전례가 드문 일로 중국발(發)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상호 의존성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7년 가까이 이어진 미국의 제로 금리 정책과 통화량 확대로 전 세계에 풀린 달러는 글로벌 금융위기 전의 약 4배에 이른다. 미국에서는 경기 호황과 금융 완화 효과가 겹치면서 부동산을 중심으로 ‘거품’ 논란까지 일어 빠르면 10월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신흥국으로 흘러들어 갔던 막대한 달러가 미국으로 환류돼 글로벌 금융시장의 충격은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한국은 미국의 금리 인상 때마다 신흥경제국 중에서 주가가 비교적 큰 폭으로 떨어진 경험이 있다. 최근에는 경제 및 금융 상황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편이지만 그렇다고 미국 금리 동결에 마음을 놓고 있을 처지는 아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금융회사와 기업들이 외화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환율의 안정적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우리도 시차를 두고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우리 경제의 취약한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 관리와 저금리로 연명해 온 부실기업의 구조조정을 서둘러야 할 때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