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묵언할 때” 김무성 호소에도…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7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유승민 사퇴 이후]이인제-김태호, 또 유승민 비판
급한 불 껐지만 갈등 불씨 여전… “조만간 당청 청와대 회동” 전망

유승민 없는 與 최고위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운데)가 9일 국회 새누리당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도중 눈을 감은 채 생각에 잠겨 있다. 전날 사퇴한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앉았던 자리에는 김태호 최고위원(왼쪽)이 앉아 있다. 오른쪽은 서청원 최고위원.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유승민 없는 與 최고위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운데)가 9일 국회 새누리당 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도중 눈을 감은 채 생각에 잠겨 있다. 전날 사퇴한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앉았던 자리에는 김태호 최고위원(왼쪽)이 앉아 있다. 오른쪽은 서청원 최고위원.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9일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장은 한 차례 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듯했다. 친박(친박근혜)-비박(비박근혜)계의 힘겨루기 끝에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자진 사퇴한 여진이 깔려 있었다.

김무성 대표는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는 속담처럼 이번 일을 계기로 당이 하나로 결속하고 국민을 위한 정치를 펴 나가는 데 매진하겠다”며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 문제에 대한 묵언(默言)”이라고 말했다. 친박계 ‘맏형’인 서청원 최고위원도 회의를 마친 뒤 전날 유 전 원내대표의 사퇴 회견에 대해 “이제 일절 그런 부분에 대해 얘기 안 한다”며 말을 아꼈다.

유 전 원내대표 사퇴를 계기로 5월 이후 중단됐던 고위 당정청 협의가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원내대표 선출 작업이 마무리되면 자연스럽게 박근혜 대통령과 김 대표를 포함한 여당 지도부의 회동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친박계 핵심 의원은 “청와대와 구체적 일정을 협의하지는 않았지만 조만간 청와대 회동이 이뤄질 것”이라며 “당청 관계도 복원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불씨’는 꺼지지 않았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정치인이 책임질 때는 고독하게 홀로 결단하는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는 모든 국민이 믿는 신념을 이번 사태가 흔들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김 대표의 중재 노력을 평가하면서도 “원내대표 자리는 개인 정치의 자리가 아니다”라며 유 전 원내대표를 겨냥했다.

지금 당장 계파 갈등이 잠복하겠지만 언제든지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많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친박-비박 간 공천 지분을 둘러싼 갈등이 대표적이다. 김 대표는 완전국민참여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를 통해 공천권을 내려놓는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친박계 일각에선 오픈 프라이머리가 실시되지 않고 당내 경선을 할 경우 친박계 의원들을 공천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공천 규칙 싸움이 확대될 수도 있다. 오픈 프라이머리 시행이 불발되면 김 대표 책임론이 나올 수 있다는 것. 경선 기준을 새롭게 만들 때 공천권 지분을 놓고 당청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고성호 기자 sung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