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조종 자유자재 요술 장갑 신기하네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2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이태윤 교수팀 스마트섬유 개발

“위이잉∼.”

장갑을 끼고 엄지와 검지를 붙이자 공중에 떠 있던 무인기(드론)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번엔 검지 대신 약지와 엄지를 맞닿게 하자 드론이 반대 방향으로 날아갔다. 딱딱하고 무거운 컨트롤러 없이 장갑(사진)을 낀 채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만으로 드론을 자유자재로 조종한 것이다.

장갑의 비밀은 전기가 흐르면서도 일반 섬유만큼 부드러워 착용했을 때 불편함이 거의 없는 ‘스마트 섬유’다. 이태윤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은나노 입자와 부드러운 고분자물질을 섞어 기존 구리전선만큼 전기가 잘 통하면서도 유연한 스마트 섬유를 개발해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1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스마트 섬유의 핵심은 전기가 잘 통하는 은나노 입자다. 지름 70∼9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은나노 입자가 섬유 속 전선을 촘촘히 채우고 있다. 섬유의 겉은 실리콘 고무의 일종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덮었다. PDMS는 독성이 거의 없어 아이들 장난감인 일명 ‘탱탱볼’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되는 소재다.

드론을 조종한 장갑의 손가락 끝에는 스마트 섬유 2가닥을 X자 형태로 엮어 압력센서 역할을 하도록 했다. 이 압력센서는 쌀 한 톨 무게 정도인 8mg(밀리그램)이 누르는 작은 압력까지 감지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지금까지 섬유로 만든 압력센서는 성인 한 명의 몸무게를 느끼는 수준이었다”면서 “세계에서 가장 민감한 섬유 기반 압력센서를 개발한 셈”이라고 말했다.

이우상 동아사이언스 기자 idol@donga.com
#드론#조종#요술 장갑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