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공유
공유하기
동아일보|사회

[신나는 공부]우리학교 공부스타/서울 신동중 2학년 장은서 양

입력 2010-11-23 03:00업데이트 2010-11-23 03:00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는야 ‘계획의 여왕’…한번 마음 먹으면 끝까지 실천”
서울 신동중 2학년 장은서 양은 “계획을 세우기 시작한 뒤로 머릿속에 ‘미루면 안된다’는 생각을 지우지 않았다”고 말했다. 장 양은 꾸준히 계획을 실천한 끝에 2학기 중간고사에서 반 3등으로 성적을 끌어올렸다.서울 신동중 2학년 장은서 양은 “계획을 세우기 시작한 뒤로 머릿속에 ‘미루면 안된다’는 생각을 지우지 않았다”고 말했다. 장 양은 꾸준히 계획을 실천한 끝에 2학기 중간고사에서 반 3등으로 성적을 끌어올렸다.
《“서울 신동중 2학년 장은서 양(14)은 ‘얼리 버드(Early Bird)’다. 평일 오전 5시 반에 어김없이 눈을 뜬다. 10분 동안 스트레칭을 한 뒤 바로 책상에 앉는다. 일일계획표를 세운다. 오전 중엔 ‘수학 프린트 4장 풀기 및 오답정리’를 마쳐야한다. 수학문제집을 펼쳐 틀린 문제를 오답노트에 적고문제를 푼다. 한 시간 동안 흔들림 없이 공부를 하고나서 등교 준비를 한다.“매일 아침에 수학공부를 해요. 처음엔 아침에 일어나는 게 힘들었지만 이젠 습관이 됐어요. 언제까지 계속 할 거냐고요? 못 푸는 수학문제가 없어지는 날까지요!(웃음)” 일요일 오전엔 가족과 서울 서초구에 있는 청계산을 찾는다.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빼먹는 일이 없다.등산으로 체력을 관리하는 것도 주간계획 중 하나다.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일은 그에게 매우 중요하다.》
장 양은 자타공인 ‘계획의 여왕’이다. 학습 및 생활 목표를 정한 뒤 일일, 주간, 월간 계획을 꼼꼼히 세운다. 세운 계획은 반드시 지킨다. 예를 들어 오후에 꼭 해야 할 공부계획이 있는데 시간이 촉박하다면 점심을 조금만 먹는다. 포만감에 졸다가 계획을 못 지키게 될까봐 두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과 몇 년, 아니 몇 개월 전만해도 그는 계획의 중요성을 전혀 알지 못했다. 차라리 ‘자유로운 영혼’에 가까웠다.

초등 5학년을 마치고 2년 간 호주로 어학연수를 떠났을 때는 한국에서 생활할 때와는 또 다른 자유로움을 만끽했다. 수업 후엔 친구들과 수영장에 갔다. 시간 날 때 시내 백화점에 가서 학용품과 간식거리를 사는 것이 즐거움이었다. 특별히 시험공부를 하지 않았는데 성적표에는 늘 ‘A’나 ‘B’학점이 찍혀있었다.

지난해 1월 한국에 돌아온 뒤 장 양은 중학교에 입학했다. 확 달라진 학교생활을 온 몸으로 느꼈다.

“해야 할 일이 너무 많더라고요. 수행평가 준비도 해야 하고 시험공부는 공부대로 해야 했죠. 그런데 놀라운 것은 중학교 첫 중간고사에서 평균 91점을 받았다는 거예요. 41명 중 7등이었죠.”

희한한 일이었다. 별로 공부하지 않은 것 같은데 생각보다 점수가 잘 나왔다. ‘나는 조금만 해도 성적이 금방 오른다’는 생각에 친구들과 어울려 놀기 시작했다. 성적은 80점대만 받으면 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점수는 예상대로 나오지 않았다. 2학기 중간, 기말고사에 성적이 더 떨어졌다. 반에서 16등까지 내려갔다. ‘터닝 포인트’가 된 것은 2학년 1학기 때 치른 적성검사다.

“초등 고학년 때부터 사촌동생들에게 덧셈, 뺄셈을 가르쳐주면서 초등학교 선생님을 꿈꿨어요. 적성검사 결과를 받아보니 적성에 맞는 직업란에 ‘교사’라고 적혀있는 거예요. 내심 기뻤지만 한편으로는 걱정이 되더라고요. ‘과연 이 성적으로 선생님이 될 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되었어요.”



그동안 보낸 시간을 반성했다. 그리고 가장 먼저 한 것이 바로 ‘계획 세우기’다. 네 살 위인 친언니의 조언을 들었다. 언니는 “나도 혼자 공부하면서 성적이 올랐다. 혼자 공부하려면 스스로 공부계획을 짜야한다”고 말했다. 목표는 다가오는 2학기 중간고사에서 성적을 올리는 것이었다. △중간고사 대비 계획 △주간 학습 계획 △일일 학습 계획을 세웠다. 매일 오전에 △수학문제집 4장 풀고 오답정리 △교과서 7단원 영어단어 암기 △사회 교과서 8∼11쪽 복습 △과학 지질시대 정리 및 암기 등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웠다. 특히 취약과목에 대한 계획은 철두철미하게 세웠다. 1학기 때 각각 68점, 78점을 받아 평균 점수를 깎아내린 주범이었던 수학과 과학에 집중해 계획을 세웠다.

꼼꼼히 세운 계획은 반드시 실천했다. 장 양은 “계획을 세우기 시작한 뒤로 머릿속에 ‘미루면 안 된다’는 생각을 지우지 않았다”고 말했다.

수학은 문제를 많이 풀기보단 오답노트를 따로 만들어 틀린 문제를 2, 3번씩 반복해 풀었다. 과학에서는 낯선 용어가 많았다. 기본적으로 암기하지 않고는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려웠다. 장 양은 학교와 집을 오가는 버스에서 생물과 화학 교과서를 틈틈이 읽었다. 읽었던 내용이 자연스럽게 머릿속에 남았다. 틈틈이 공부한 것은 시험 직전에 공부할 때 큰 도움이 됐다. 공부시간도 늘었다. 이전까지 한 과목에 30분 이상 공부한 적이 없었다. 집중해서 공부하지 않았던 것이다. 과목 당 공부시간을 1시간으로 늘렸다. 집중력을 갖고 여러 번 반복했다.

장 양의 2학기 중간고사 성적은? 예체능과목을 제외하고 평균 92점, 반에서 3등을 했다. 수학이 20점 가까이 올라 87점, 과학도 96점까지 올랐다.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자신감이 높아졌다. 뭐든 하면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름방학 땐 3주 동안 ‘독한 다이어트’에 돌입했다. 두부와 김치, 두유만 먹으며 식단을 조절했다. 매일 오전 9시에 집 근처 한남대교에서 성수대교까지 왕복으로 1시간 정도 걸었다. 1년 전에 비해 몸무게가 12kg 줄었다. 장 양은 “힘들었지만 다이어트에도 성공하니 ‘살도 뺐는데 못할 게 없다’라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장 양을 대하는 친구들의 태도도 달라졌다. 성적향상의 비결이 계획에 있다는 걸 알게 된 친구들이 장 양의 계획표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빌려갔다. 예전엔 그가 계획표를 짜고 있어도 관심이 없던 친구들이 “기말고사 계획 어떻게 세웠느냐”면서 계획을 적는 수첩을 빌려달라고 했다. 시간대 별로 어떤 과목을 공부하는지 하루에 몇 시간 공부를 하는지 물어보는 친구들도 있었다. 그리고 장 양과 비슷한 계획표를 만들어 가져왔다.

“차근차근 계획을 세우고 지키려고 노력한 것이 저를 만들어줬어요. 저에게 새로운 꿈이 생겼는데요.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최고경영자(CEO)가 되는 거예요. 화장품, 요리, 커피 등 관심분야도 전보다 넓어졌어요. 요즘엔 계획만 잘 실천하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웃음).”

봉아름 기자 erin@donga.com
※‘우리학교 공부스타’의 주인공을 찾습니다. 중하위권에 머물다가 자신만의 학습 노하우를 통해 상위권으로 도약한 학생들을 추천해 주십시오. 연락처 동아일보 교육법인 ㈜동아이지에듀. 02-362-5108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댓글 0
닫기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