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천안함’직전까지 정상회담 요구

  • Array
  • 입력 2010년 8월 2일 03시 00분


코멘트

작년11월 통일부와 협상 무산 뒤 12월 與인사 접촉
靑에 비료지원 등 요구… 답변 없자 거부 판단한 듯

북한이 지난해 12월 여권 중진 인사를 통해 정상회담 개최와 비료 지원 등 3개항의 요구사항을 청와대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수개월 동안 명확한 답을 주지 않았고 북한은 3월 26일 천안함 공격 등 무력도발을 감행했다.

1일 대북 소식통들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개성에서 두 차례 열린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논의하기 위한 통일부와 통일전선부 간 비밀회담이 결렬된 뒤인 12월 북한은 여권 중진 인사인 A 씨와 접촉해 정상회담 개최 등을 요구했다.

북한은 A 씨에게 “현인택 통일부 장관이 이끄는 통일부를 빼고 이전에 임태희 노동부 장관(현 대통령실장)과 하던 이야기를 계속하자”고 제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남 접촉의 주체는 김양건 통전부장과 원동연 이종혁 부부장 라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내건 세 가지 조건은 △지난해 10월 임 장관이 ‘대통령특사 자격’으로 합의한 약속(정상회담 개최와 그 대가로 경제적 지원)을 이행하고 △남북 간에 통일부 국가정보원 등 남측 공식 라인이 아닌 비공식 대화 채널을 만들어 운영하며 △남측이 대화를 계속하겠다는 진정성의 표시로 비료 30만 t 등 경제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내용인 것으로 전해졌다.

A 씨는 이를 청와대에 전달했고 청와대와 정부 외교안보라인 책임자들은 이 제안을 놓고 격론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정부 내 논란이 계속되면서 청와대는 A 씨에게 확실한 답변을 주지 않았고 A 씨는 북측에 “올해 3월 말∼4월 초에는 답을 주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북한은 남측의 답변 약속 시한이 얼마 남지 않은 3월 26일 천안함 폭침사건을 감행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남한과의 정상회담 개최 논의가 최종 결렬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보복으로 천안함 사건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다만 천안함 사건이 일어난 뒤 A 씨와 접촉했던 북한 통전부 라인은 당황한 기색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통전부를 배제하고 군부를 움직였거나 군부가 독자적으로 천안함 사건을 일으켰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신석호 기자 kyle@donga.com

김승련 기자 sr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