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쌍용차 사태, 모든 기업에 남의 일 아니다

  • 입력 2009년 1월 12일 02시 58분


쌍용자동차가 9일 법정관리를 신청함으로써 협력업체의 연쇄도산과 실업난 가중 등 큰 충격이 우려된다. 쌍용차는 직원만 7100여 명이고, 협력업체는 1차 업체가 250여 개, 2, 3차 업체가 1000여 개에 이른다. 쌍용차가 문을 닫으면 수십만 명의 생계가 곧바로 타격을 입는다. 완성차 공장이 있는 평택은 인구의 10%인 4만여 명이 쌍용차와 직간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어 후유증이 불가피하다.

대주주로서 4년 전 쌍용차를 인수한 중국 상하이차는 매년 3000억 원씩 1조2000억 원의 투자를 약속했지만 이행하지 않았다. 생산과 판매를 늘리기 위한 노력보다는 한국차의 기술을 빼가는 데 더 관심이 많았다는 게 노조 측 주장이다. 신차 개발에 보통 3000억 원이 드는데 상하이차는 별도의 로열티 없이 쌍용차가 30년간 신차를 개발하면서 축적한 데이터를 손에 넣었다는 것이다.

업계에선 상하이차가 쌍용차 인수대금 5900억 원을 건지지 못하더라도 이를 만회할 수 있을 만큼 큰 이익을 얻었다고 본다. 이런 ‘기술 먹튀(먹고 튀기)’ 논란은 향후 한중 경제협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하이차는 당장 밀린 기술이전료를 모두 갚고 ‘먹튀’ 의혹에 명확히 답해야 한다.

강성인 금속노조 쌍용차 지부는 2006년 경영진의 대대적인 경비절감 노력에 공장 문을 걸어 잠그는 ‘옥쇄파업’으로 맞섰다. 차량 생산비용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20%로 경쟁업체의 2배나 되는 쌍용차 노조가 경쟁력 제고에 동참했더라면 상황이 이렇게까지 나빠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번에도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은 임금삭감 등 자발적인 양보는 언급도 하지 않았다. 실물경제 침체 속에서 일자리 위기는 노조의 협조 없이는 넘길 수 없는데도 그렇다.

쌍용차의 법정관리 여부는 한 달 내에 결정된다. 법정관리가 받아들여지지 않아 청산하게 되면 협력업체의 연쇄도산과 금융기관의 손실이 뻔하다. 노사가 합심해도 극복하기 쉽지 않은 경기침체를 맞아 대주주와 노조가 극한 대립으로 끝내 위기를 키운 쌍용차 사태는 국내 기업들에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