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허문명]冠廷아시아賞

  • 입력 2008년 5월 14일 02시 59분


8년 전 이종환(84) 삼영그룹 회장이 1000억 원대 장학재단을 만들겠다고 해 세상을 놀라게 했다. 이 회장은 경남 의령 출신으로 자수성가해 14개 계열사를 거느린 중견 기업인이다. 똑같은 양복을 수년씩 입고 점심은 자장면으로 해결한다 해 자린고비 회장님으로 불렸다. 재단 설립을 발표할 당시 부인이 이혼청구 및 재산분할신청 소송을 냈다. 거액의 재산을 사회공헌 활동에 다 쓰는 것을 가족이 달가워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후문이 따랐다.

▷그는 2년 뒤 사재 10억 원을 출연해 관정교육재단을 설립하고 이듬해 약속한 금액의 3배인 3000억 원을 출연했다. 지금은 6000억 원대로 불어났다. 기업 규모 면에서는 삼성 현대와 비교도 되지 않는 연매출 4000억 원의 중견 그룹이 세운 재단이지만 아산과 삼성문화재단 다음이다. 순수장학재단으로는 국내 최대다. ‘관정장학금’은 어떤 조건도 달지 않고 학생들의 형편을 제일로 감안한다고 한다. ‘재단 장학생 중에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는 걸 보는 것’이 이 회장의 꿈이다. 관정(冠廷)은 그의 아호.

▷그가 기부인생을 살게 된 동기는 삼영화학 창업 50주년을 맞아 출간한 자서전 ‘정도(正道)’에도 소개돼 있다. 어느덧 초로의 나이가 되자 ‘아무리 돈 많으면 뭐하나, 제대로 쓰고 죽어야지’ 하는 마음이 간절해졌다. 미국의 거부(巨富)가 모텔에서 쓸쓸하게 죽었다는 뉴스도 예사롭게 들리지 않았다. 한때 투병하는 둘째 아들이 안타까워 병원을 세울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사람 키우는 일’에 쓰기로 마음을 먹었다. 한 인터뷰에서 “선(善)으로 악(惡)을 씻고 싶다”고 한 말도 인상적이다.

▷“내가 돈을 모은 시절에는 버는 방식이 거칠 수밖에 없었다. 록펠러도 불법 거래, 정경유착, 노조 탄압으로 재산을 모았지만 말년에 사회에 다 내놓고 갔다. 악인과 선인이라는 세간의 잣대를 많이 생각한다. 지난 내 인생에도 분명 선악이 있다. 다만 남은 생은 선으로 악을 씻는 일에 매진할 것이다.” ‘돈을 놓으니 마음이 편해 좋다’는 이 회장이 이번에는 아시아 인문학자와 자연과학자에게 100만 달러(약 10억 원)를 주는 관정아시아상을 만든다. 인문 분야로는 세계적으로도 드문 금액이며 노벨상 상금 수준에 맞먹는다.

허문명 논설위원 angelhu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