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식탁 안전’ 없이 선진국 못 된다

  • 입력 2008년 3월 24일 21시 58분


생쥐머리 새우깡, 애벌레 컵라면, 칼날 참치캔, 곰팡이 즉석밥 등 듣기만 해도 혐오스러운 식품위생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발표를 보면 어묵, 떡볶이, 튀김, 김밥 등 길거리에서 파는 음식과 노점상에서 제공하는 먹는 물에서도 기준치 이상의 세균이 검출됐다. 식탁의 국제화가 빠르게 진행되는데, 수입식품도 안심할 수 없다. 이탈리아산 모차렐라 치즈에서도 기준치 이상의 다이옥신이 검출됐다고 한다.

새우깡 이물질 파동은 오랜 기간 소비자의 신뢰를 받아온 유명 식품업체 제품에서 발생한 사고라는 점에서 국민의 충격이 더 크다. 더욱 한심한 것은 해당업체인 농심이 사건을 알고도 한 달 이상 쉬쉬해 결과적으로 문제의 식품을 사먹도록 방치했다는 사실이다. 뒤늦게 회장이 직접 사과했지만 국민의 위생과 안전보다는 이익만 추구하는 악덕상혼이라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나름대로 품질관리에 철저하다는 대기업들의 제조공정이 이런데 자본과 인력이 부족한 소규모 업체의 사정은 어떻겠느냐는 우려가 나올 만하다. 많은 업체들이 원가절감을 위해 중국 공장에서 중국산 원료로 제품을 생산하거나, 값싼 외국산 식품을 대량으로 수입하다 보니 일본의 중국산 농약만두 파문과 같은 대형사고가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

식품당국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불량만두, 기생충알 김치, 사카자키균 분유, 농약성분 녹차 등 사고가 터질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땜질 처방에 그쳤다. 호기(好機)라도 만난 듯 식품안전처 신설 등 기구 확대 요구만 되풀이했다.

국민이 식품 하나 안심하고 사먹을 수 없다면 선진화는 요원하다. 선진국들이 기업 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 규제를 혁파하면서도 식품안전과 환경규제는 강화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제라도 정부는 생산단계에서부터 철저한 모니터링과 위기관리 시스템을 갖춰 나가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