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헌터의 경력컨설팅]<8>인사고과 낮은 대기업 직장인

  • 입력 2003년 1월 19일 17시 19분


코멘트
IBK컨설팅의 이원구 수석 컨설턴트는 “인사고과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항상 회사나 소속 부서 등 조직의 관점에서 자신의 업무를 분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사진제공 IBK컨설팅
IBK컨설팅의 이원구 수석 컨설턴트는 “인사고과에서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항상 회사나 소속 부서 등 조직의 관점에서 자신의 업무를 분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사진제공 IBK컨설팅
대기업 연구개발 분야에서 8년째 근무중인 김모씨는 누구보다도 열심히 일해왔다고 자부한다. 특히 다른 동료들이 자신의 프로젝트에만 열중하고 있을 때에도 그는 후배들을 챙기는 등 팀 화합을 위해 나름대로 노력했다. 그러나 최근 받아본 인사 고과는 충격이었다. 오히려 동료들보다 더 낮았다. 회사에 대한 실망이 컸다. 김씨는 자신의 업무방식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물어왔다.

▽컨설턴트의 조언=IBK컨설팅 이원구 수석 컨설턴트는 김씨에게 ‘조직의 관점’에서 업무를 분석해보라고 조언했다. 김씨가 아무리 열심히 일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회사나 소속 부서가 요구하는 1차적 업무가 아니라면 문제라는 것.

이 컨설턴트는 김씨와 면담한 뒤 “김씨는 주 업무보다는 후배관리와 같은 부차적 업무에 지나치게 많은 정력을 쏟았다”고 결론을 내렸다.

고과 작성시 자신의 업무성과를 수치를 이용해 적극적으로 설명하는 것도 필요한데 김씨는 ‘상사가 다 알고 있겠지’라고 생각하면서 ‘겸손한’ 태도를 보였던 것도 문제였다.

예를 들어 후배 직원 챙기기에 대해서도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한 것’이라고 ‘해석’을 달아주면 좋다는 것.

▽좋은 고과를 받으려면=첫째, 리더의 입장에 서봐야 한다. 크게는 회사의 대표, 작게는 소속 팀장 시각에서 자신의 업무를 바라본다면 업무의 우선 순위를 조율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렇게 해보는 것은 자신이 나중에 리더가 됐을 때 도움이 된다.

둘째, 조직에서 전문가로 인정받아야 한다. 전문가가 인사고과에서 외면을 받기는 쉽지 않다. 헤드헌터들도 전문가들에게 비교적 높은 점수를 준다.

셋째, 직장 내 실력자들과 좋은 인간관계를 쌓아야 한다. 회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선배들과 가까이 하는 것은 업무를 더 많이 배울 기회를 잡는 것이며, 향후 전직을 하려고 할 때 평판조회(레퍼런스 체크·Reference Check)에서도 유리하다. 최근 헤드헌팅 회사가 인재를 추천할 때 평판조회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외국계 기업은 100% 평판조회를 의뢰한다.

▽고과는 경력관리의 시작=인사고과에 잘 대처하면 좋은 고과와 경력관리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의 미래를 생각해 보고 그것을 기준으로 자신의 업무 능력을 키워 나가는 것이 급선무이다.

회사가 앞으로 10년 20년 동안 무한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주력해야 하는 사업부문이 무엇인지를 예측해보고 한 발 앞서서 준비해 나간다면 기업의 목표에 맞는 역량을 키우는 것과 동시에 자신의 경력관리에도 도움이 된다. 회사가 나아갈 방향에 미리 포진해 있는 인재가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공종식기자 kong@donga.com

◇알림

‘지상 경력 컨설팅’에 참여할 독자를 찾습니다. 선정된 독자에게는 경력진단 등 맞춤형 컨설팅을 무료로 해줍니다. 연락처 ask@ibkconsulting.com, 02-780-5806

▼'개인보다 회사우선'사례▼

대기업인 A사는 구조조정을 위해 식품사업부를 정리하기로 결정했다. 사업부 정리 프로젝트를 위해 김○○ 팀장을 식품사업부 공장에 파견했다.

현장에 내려갔던 김 팀장은 식품사업부의 ‘숨겨진’ 수익성을 발견하고 노력을 기울인 끝에 폐쇄 직전의 식품사업부를 회생시키는데 성공했다.

골치였던 식품사업부를 수익을 내는 사업부로 만들었으니 당연히 회사로부터 포상을 기대했던 김 팀장. 기업의 최대 목표는 이윤 추구가 아니었던가.

그러나 그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포상이 아닌 징계였다. 회사측의 설명은 이랬다.

“김 팀장을 공장에 파견한 것은 식품사업부를 살리기 위한 것이 아니고 정리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 사업부를 정리하기로 한 경영진의 결정은 단기적인 수익성 때문이 아니었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그 결정이 회사에 더 이익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결국 개인적인 판단으로 식품사업부를 ‘살렸던’ 김 팀장은 이후 사표를 제출했고, 식품사업부는 따로 분사했다.

이를 두고 회사가 단기적이지만 이익을 가져다준 직원에게 가혹한 처사를 한 것이 아닌가 하는 반론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사례는 개인이 회사에서 일할 때에는 항상 개인이나 팀 차원이 아닌 회사 전체 차원의 목표를 염두에 두고 업무를 해야 한다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좋은 고과를 받는 비결
·리더의 입장에 서봐야 한다
·조직의 전문가로 인정 받아라
·직장내 실력자와 좋은 인간관계 쌓아라

공종식기자 k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