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증시포커스] 국고채 금리상승은 주가에 악재다

  • 입력 2001년 2월 22일 07시 50분


반등추세를 보이는 국고채(3년물) 금리가 당분간 주식시장을 억누를 전망이다.

전일 국고채 금리는 32bp가 오른 5.72%를 기록했다. 5.73%를 기록한 1월 30일 이전수준으로 후퇴했다. 회사채(AA-.3년물)금리도 덩달아 21bp 오른 6.79%에 마감했다. BBB-등급 회사채는 17bp가 상승한 11.76%를 기록했다.

코 IMF 서울사무소장이 "한국은행의 인플레이션 전망은 3∼4%이고 올해 한국경제성장률은 4.5%로 예상돼 추가금리인하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한 것이 금리상승을 가져왔다.

일반적으로 금리는 경제성장률(4.5%)에다 물가상승률(3∼4%) 그리고 위험프리미엄을 반영한다. 이 공식대로라면 국내적정금리는 적어도 7%는 넘어야 한다는게 코 IMF서울사무소장의 의중이다. 그동안 안전자산선호(Flight to Quality)로 적정가치 이상으로 급등한 국고채 가격의 거품이 빠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코 IMF사무소장의 발언이 알려지자 5%초반에 매수한 채권시장 참가자들이 금리상승(채권가격 하락)에 따른 손실을 감내하면서 내다 판 것도 이같은 연유에서다.

그러면 국고채 금리 상승은 주식시장에 호재인가 아니면 악재인가.

이상재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경제조사팀장은 2/4분기이후 주식시장으로 자금유입을 가져올 호재로 받아들인다.

이팀장은 "전일 국고채 금리급등은 인플레이션상승보다는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고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즉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늘리면 장기자금에 대한 수요가 늘어 국고채와 회사채의 금리가 오르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경기회복으로 기업실적이 호전되면 시중자금의 주식시장으로 들어올 것으로 전망했다.

즉 주식투자의 기대수익률도 높아져 2/4분기이후 시중자금이 MMF와 채권형 간접상품에서 주식형 간접상품으로 이동할 것이란 견해를 밝혔다.

이와 달리 국고채 금리의 상승반전은 주식시장에 악재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국고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상당수 금융기관들이 금리평가손을 입어 주식매수여력이 없다는 지적이다.

국고채 금리는 5%(2월 10일)에서 불과 11일만에 72bp올랐다. 금융기관 채권펀드의 듀레이션은 대체적으로 2년안팎이므로 5%에 매수할 경우 1.4%포인트 금리손실을 입은 셈이다. 5.72%밑에서 국고채를 매수한 금융기관들은 대부분 손실을 입었다는 얘기다.

듀레이션은 금리 1% 상승(하락)에 채권가격이 얼마나 등락하는가를 보여준다. 가령 듀레이션이 1년이면 금리가 1% 오르면 채권가격은 1%정도 하락한다.

국고채 금리가 당분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회사채에 대한 매수도 덩달아 줄어들 전망이다. 국고채 금리가 오르면서 회사채의 상대적인 가격메리트가 줄어들기 때문.

국고채가 5%(2월 10일)일 때 회사채(BBB-)와 금리차이는 647BP이었다. 21일 양자의 금리차이는 602bp. 국고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양자의 금리차이가 줄어들었다. 그동안 국고채 금리가 급락했기 때문에 반등폭도 상대적으로 크다.

국고채에 비해 유동성이 부족한 것도 회사채시장으로 자금유입을 가로막는다.

A등급 이사의 우량회사채는 물론 상대적으로 부도위험이 적은 BBB등급 회사채는 원하는 물량을 구하기도 어렵고 또한 금리상승시 즉각 내다팔기는 더욱 불가능하다.

이같은 한계 때문에 국고채 금리가 등락을 거듭하는 한 회사채 시장은 소강상태를 보일 것이라고 박성진 삼성투신운용 차장은 전망한다.

현재 대다수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국고채 금리상승이 가져올 부정적인 결과에 공감하는 편이다.

즉 국고채 금리 상승이 '국고채 투자가치 감소->회사채 수요확대->주식시장 자금이동'을 가져오기보다는 '금융기관 평가손 증대->회사채 매수 관망->신용경색강화->주가하락'을 초래한다는 가능성에 비중을 두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 것(0.6%)도 후자의 전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번 발표로 미국경제에 인플레이션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FRB(미연방준비제도 이사회)의 금리인하폭이 예상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것은 국고채 금리의 추가하락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국고채 금리의 하향안정을 '유동성장세'의 전제조건으로 주장했던 전문가들의 입지를 축소시킨다.

박영암 <동아닷컴 기자>pya840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