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포커스]재일사학자 서용달교수 "재일한국인에 정권을"

  • 입력 2001년 1월 18일 18시 42분


“국제인권규약은 내외국인을 평등하게 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규약을 비준한 일본 정부는 마땅히 한국인을 비롯한 영구거주 외국인의 권리를 인정해야 합니다.”

70년대 중반 이후 재일 한국인 참정권 확보 운동에 앞장서온 서용달(徐龍達·68·사진)모모야마가쿠인(桃山學院)대학 교수(경영학)가 잠시 한국을 방문했다.

그는 18일 출국 직전 인터뷰에서 “지난해에 이어 다음달에도 일본 의회에 관련 법안이 제출될 것으로 보이나 통과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면서 한국 정부와 일반인이 이 문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했다. 여러 민족이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 공생사회를 위해서는 국수(國粹)화가 아닌, 국제화의 길을 선택하는 것이 자명한데도 이를 외면하는 일본사회를 안타까워했다.

부산에서 태어난 그는 9세 때 부친을 따라 일본에 건너간 뒤 오사카시립대 상학부를 나와 고베대에서 경영학박사과정을 마쳤다. 63년 모모야마대 전임강사로 임용된 이후 줄곧 학계에서 연구활동을 해오며 재일교포의 인권 문제 등 사회활동에도 관심을 쏟아왔다. 대학 졸업시 성적이 좋았지만 한국 국적자란 이유로 동기생 중 유일하게 취직하지 못해 대학원에 가야 했던 일을 비롯해 수없이 당한 ‘민족차별’을 바로잡기 위해서였다. 그가 최근 ‘다문화 공생사회론’이란 강좌를 개설해 진행하고 있는 것도 바로 ‘공생 사회’에 대한 간절한 희망에서다.

“한국이 경제 성장에 걸맞은 국제감각을 갖춘 나라가 되려면 일본의 잘못을 비판만 하지말고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인권을 적극 보호해야 합니다.” 그는 남의 잘못을 절대로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조헌주기자>hans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