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30년대 '지적 논쟁'의 중심에 있던 화가, 근원 김용준

  • 입력 2000년 12월 15일 19시 22분


▼近園 金瑢俊 전집 1, 2―새근원수필, 조선미술대요/김용준 지음/각 280쪽/내외 1만5000원/열화당▼

근원 김용준(近園 金瑢俊·1904∼67). 그는 20세기 한민족의 굴곡을 온 몸으로 겪은 흔치 않은 미술가였다. 그의 행적은 지난 세월 우리의 지적(知的) 성감대와 동의어를 이룬다. 식민지시대와 분단시대를 아우르면서 늘 전선에서 나름대로의 좌표를 제시했다.

1920년대 그는 화가의 꿈을 안고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미술학교를 졸업했다. 그의 원래 전공은 유화였다. 그러나 그는 우리 민족의 전통을 새롭게 인식하고 지필묵(紙筆墨)을 들기 시작했다. 문인화의 세계는 곧 그의 앞마당이 되었다. 그가 추구한 우리의 미의식은 고담미(枯淡美)였다. 우아하면서도 격조 있는 세계는 옛 선비들의 고향이기도 했다.

근원은 그랬다. 품격 높은 세계를 전통적 모필(毛筆)로 담았다. 하지만 그는 유화와 문인화의 경계만 넘나들은 것은 아니었다. 30년대의 논쟁 속에서도 항상 중심부에서 치열한 필봉을 날렸다. 프롤레타리아예술론에서 조선향토색론에 이르기까지 그는 논객으로서도 풍부한 생산성을 과시했다. 어느덧 그는 화가에서 비평가로 변신해 있었다. 뿐만이 아니었다. 그는 우리 겨레의 미술사를 연구하기 시작하여 무게 있는 논문들을 내놓았다.

‘조선미술대요(朝鮮美術大要)’는 그같은 작업의 첫번째 결실이었다. 그렇다고 미술사 논문만 발표한 것도 아니었다. 근원의 성가는 수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열화당에서 발행되기 시작한 근원 김용준전집에는 ‘근원수필’과 ‘조선미술대요’가 포함됐다. 깔끔한 편집으로 새롭게 담긴 근원의 글은 아직도 생명력이 살아 감동을 자아내고 있다. 근원은 이들 명저를 출판 하면서 대학에서 후진을 양성하다가 한국전쟁 시기에 월북했다. 그는 평양미술대학 등에서 활동하는 한편 미술사 계통의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이번 김용준전집은 월북이후의 성과물들까지 한자리에 묶어 근원의 세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분단시대를 살아가면서 한 지식인 화가의 행적을 우리는 편하게 접하게 되어 한편으로는 고마우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송구스런 마음도 들 정도이다.전집 속의 ‘새 근원수필’은 1948년 초판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월북 이전에 발표했던 수필 20여 편을 보탰다. 역시 정갈한 근원수필이다. 지금 읽어도 잔잔한 감동을 듬뿍 안겨준다. 특히 이번 책은 한글세대를 위하여 각주를 달아 주는 친절함까지 보여주었다. 월북 이후에 한 때 금기작가로 묶여 이름조차 불러 보지 못했던 한 미술가의 영혼을 이렇듯 편하게 접할 수 있다니, 그 안복(眼福)에 감사할 따름이다.‘조선미술대요’(1949년 초판) 역시 한글세대에 맞게 재편집되어 읽기가 편해졌다. 해방 이후 혼란기에 식민잔재를 걷어내면서 새롭게 기술된 미술사 책이다. 근원의 민족정신을 확인케 하는 역저가 아닌가 한다. 당시만 해도 참고할만한 일차자료가 넉넉하지 않았던 시기였는데 어떻게 이와 같은 역저를 출판케 되었는지 사뭇 궁금할 따름이다. 이 같은 근원의 저서에 의해 20세기 후반부의 한국미술은 보다 풍성해지면서 정체성(正體性)을 수립하는 단서를 얻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윤 범 모(경원대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