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광주민주화운동' 스무돌

  • 입력 2000년 5월 17일 19시 34분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스무 돌을 맞았다. 어제는 서울과 광주에서 전야제가 열리고 광주 망월동 묘역에는 여야 수뇌부를 비롯해 국내외 참배객들의 추모행렬이 줄을 잇고 있다. 5·18기념 우편엽서도 발행되었다.

그러나 80년 5월 광주가 '살아있는 역사'로서 국민 모두의 가슴속에 자리잡기 위해서는 '5월 광주'의 정신과 역사적 교훈을 오늘의 과제로 이어나가야 한다.

80년 5월 광주시민은 부당한 국가폭력에 맞서 투쟁했다. 권력탈취를 위한 신군부의 무자비한 만행은 '민중봉기'를 불렀고 광주시민은 비록 며칠간이었다고는 해도 세계사적으로도 그 유례를 찾기 힘든 '민중승리'를 쟁취했다.

항쟁의 기간에 광주시민은 고립된 속에서도 밥을 나누고 피를 나누었다. 사재기도 없고 범죄도 없는 공동체적 시민의식을 보여주었다. 이는 광주항쟁이 한 지역의 비극으로 국한될 수 없는 민주화투쟁의 역사성을 담보한다.

그러나 당시 계엄당국의 언론검열과 5공 초기의 탄압국면은 '5월 광주'에 대한 침묵과 왜곡을 강요했다. 그 폭압적인 독재권력의 제약이야 어떠했든 결과적으로 진실보도란 언론의 기본적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우리는 다시 한번 스스로를 돌아보고 자책한다.

'5월 광주'는 80년대 한국사회 민주화투쟁의 원천이었다. 그리고 그 힘은 87년 6월 시민항쟁으로 분출되었다. 우리 사회가 그동안 어렵게 성취하고 다시는 되돌릴 수 없는 시대정신인 민주화의 밑바탕에는 '5월 광주’가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에는 아직 정치적으로 악용된 지역감정 등으로 인해 '5월 광주'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편견이 잔존해 있다. 이것이 광주민주화운동의 전국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광주민주화운동이 보인 부당한 국가권력에 대한 '항쟁의 정신'을 정치적 지역적 수준을 뛰어넘어 시대가 추구해야 할 보편적 민주주의 가치로 끌어안아야 한다.

광주민주화운동이 '살아있는 역사'로서 우리 사회에 부과하고 있는 책무는 형식을 넘어서는 민주주의의 질적 완성이다. 이를 위해 정치 경제 사회 각 부문의 개혁은 미룰 수 없다. 지역감정을 해소하는 일도 시급하다.

이 모든 과제들은 진정한 민주화로서만 풀어나갈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5월 광주'의 정신을 승계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길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