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IMF체제로 들어간 97년말이나 지금이나 한국 경제는 실물부문의 과잉투자로 인한 과잉시설 그리고 금융부문의 과도한 부실채권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대중정부가 위험한 외환위기를 힘겹게 넘겼고 경기도 회복되고 있지만 5대 재벌의 과잉시설은 거의 해소되지 않았고 부실채권 해결도 만족스럽지 못해 언제 제2의 환란을 당할지 모를 지경이라는 것.
정교수는 또 우리 경제에 대한 비판적인 진단 이외에 경제 개혁을 시장에만 맡겨둘 수 없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평소 지론도 다시 강조하고 있다.
〈이 진기자〉leej@donga.com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이언주 “백신 1호 접종 구경만 한 文, 아직 신분사회인가?”
- [단독]‘이용구 폭행사건 지휘’ 서초署 간부, 휴대전화 데이터 삭제 정황
홍준표 “아직도 문재인 세상…정신 못차리는 국민의힘”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