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검진 결과 ‘변성 요추 전방 전위증(퇴행성 허리뼈 앞쪽 미끄러짐증)’이었다. 요통의 원인 중 요추간판탈출증 요추관협착증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병. 우리나라 인구의 5%가 걸릴 정도로 환자가 많다. 나이 든 사람이 잘 걸린다.
허리를 뒤로 젖혔을 때 허리와 다리 및 엉덩이에 불편을 느끼고 쪼그려 앉을 때 증상이 가벼워지는 경우 이 병을 의심할 수 있다. 서 있으면 15분 이내에 요통이 오고 다리가 당기면서 엉덩이 부위가 아파지기도 한다.
2일 정도 누워 안정을 취하거나 무리한 일을 하지 않으면서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을 하면 근육경련 다리저림 등이 나아지는 때가 많다. 요통이 가라 앉으면 허리근육 강화운동을 한다.
그러나 계속해서 재발하거나 마비가 나타나면 수술해야 한다. 대부분 허리 뒤를 약 5㎝ 정도 절개,‘최소 상처 현미경술’로 흔들리는 허리뼈를 인공인대로 묶어주면 치료된다. 출혈이 거의 없어 수혈도 필요없고 2시간 정도 걸리는 간단한 수술이다. 이 수술로 안될 때는 인공 디스크통 또는 나사못 고정수술을 해야 한다. 02―527―0910,1
이상호(우리들병원장·척추신경외과 전문의)
서울시청 직원 게시판에 “김어준 퇴출해야” 글 잇달아
진중권 “선동가 된 서민, 우리사이 끝”→ 서민 “죄송, 정권 바뀔 때까지는”
박영선 고배 들이켜게 한 여권 인사 5인
[단독]오세훈의 서울시 “공시가격 재조사하겠다”
[단독]檢 “이상직, 횡령 38억 대부분 현금 인출”… 자금흐름 추적
대일고·고려대 동문, 야권 ‘대선 승리’ 디딤돌 놓았다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