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체험#1]관절 꺾고 목 조르고… 순식간에 상대 제압 “이 맛이야”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9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브라질 현지에서 주짓수 배워보니

지난달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브라질리안 주짓수 체육관에서 세르지뉴 엔리키 미란다 관장(오른쪽)이 본보 강홍구 기자에게 팔 꺾기 기술을 시도하고 있다. 만약 견디지 못할 경우 항복을 표시하기 위해 손으로 바닥을 두드려야 한다. 리우데자네이루=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지난달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브라질리안 주짓수 체육관에서 세르지뉴 엔리키 미란다 관장(오른쪽)이 본보 강홍구 기자에게 팔 꺾기 기술을 시도하고 있다. 만약 견디지 못할 경우 항복을 표시하기 위해 손으로 바닥을 두드려야 한다. 리우데자네이루=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지구 반대편에 있는, 그래서 우리에게 더 멀게만 느껴지는 나라. 브라질이다.

하지만 지난달 열린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은 ‘따봉’의 나라 브라질에 대한 관심을 높여줬다. 덩달아 ‘브라질리안 주짓수(Brazilian jiu-jitsu·브라질 유술)’의 인기도 높아졌다. 주짓수는 크게 브라질리안 주짓수와 유럽식 주짓수로 나뉜다. 브라질리안 주짓수는 타격을 금지하고 관절 꺾기, 조르기 등의 기술을 주로 구사한다. 올림픽 열기가 한창이던 지난달 리우데자네이루의 한 주짓수 체육관에서 직접 주짓수를 체험해 봤다. 리우데자네이루는 1925년 세계 최초로 브라질리안 주짓수 체육관이 문을 연 도시다.

“고수가 나타났다!”, 그러나….

무도(武道)는 예(禮)와 도(道)다. 도복을 갖춰 입고, 무릎을 꿇고, 고요히 명상에 잠겼다.

‘inner peace, inner peace, inner peace….’(만화영화 ‘쿵푸 팬더’에 나오는 대사로 ‘내면의 평화’란 뜻)

얼핏 잠이 들려는 순간, 정중하면서도 낮은 중저음의 남자 목소리가 들렸다.

“Master, Are you from japan?(고수님, 일본에서 오셨습니까?)”

몸무게만 100kg이 넘는 기자가 폼 잡는다고 도복을 입고 명상에 잠겨 있으니 동양의 무술 고수가 ‘도장 깨기(유명한 무술 도장을 찾아가 그곳의 강자를 꺾는 행위)’라도 하러 온 줄 알았나 보다. 그런데 하고 많은 동양 나라 중에 하필 왜 일본일까?

브라질리안 주짓수는 일본 고유의 무술인 유술(柔術)에서 유래됐다. 실전 대결을 위해 전 세계를 돌아다니던 일본 유술가 마에다 미쓰요(1878∼1941)가 브라질의 항구 도시 벨렝에 정착해 기술을 전수한 것이 지금의 주짓수로 발전했다. 주짓수(Jiu-Jitsu)라는 이름도 유술의 일본식 발음인 ‘주주쓰’에서 나온 것이다.

세르지뉴 엔리키 미란다 관장(39)은 “당신을 일본에서 온 주짓수 고수로 생각한 모양”이라며 웃음을 터뜨렸다. 기자가 빌려 입은 도복의 띠가 고수만이 매는 ‘레드&블랙’에 흰 줄 3개가 새겨진 것이어서 더욱 그랬나 보다. 주짓수 띠는 흰색, 회색, 노란색, 주황색, 녹색, 파란색, 보라색, 갈색, 검은색, 빨간색&검은색으로 나뉘며 이후에는 3년에 흰 줄 하나씩을 추가해 경력을 나타낸다. 띠만 보면 기자는 못 해도 20년 이상을 한 고수였던 것이다.

‘아차차∼. 저놈이 한 수 가르쳐 달라고 하면 어쩌지?’ 때늦은 후회가 밀려왔다.

“Master!”에서 “Hey, 캉(kang)!”으로

세르지뉴 엔리키 미란다 관장(왼쪽)의 기술 시범을 수강생들이 지켜보고 있다. 1시간여의 교육은 관장이 시범을 보인 뒤 각자 짝을 지어 기술을 반복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기술 연습이 끝난 뒤에는 직접 대결을 하기도 한다. 리우데자네이루=강홍구 기자 windup@donga.com
세르지뉴 엔리키 미란다 관장(왼쪽)의 기술 시범을 수강생들이 지켜보고 있다. 1시간여의 교육은 관장이 시범을 보인 뒤 각자 짝을 지어 기술을 반복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기술 연습이 끝난 뒤에는 직접 대결을 하기도 한다. 리우데자네이루=강홍구 기자 windup@donga.com
그동안 본 무협지가 몇 권인가. 서로 인사를 나눌 때까지도 기자는 ‘동양에서 온 신비로운 고수’처럼 행세했다. 하지만 준비운동을 하면서 기자를 보는 눈빛이 조금씩 변해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다양한 꺾기 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주짓수 특성상 준비운동은 관절을 푸는 데 집중됐다. 바닥에 누운 뒤 무릎을 접어 양발을 바닥에 붙이고, 양측 옆구리를 번갈아 접었다. 준비운동만 했는데 땀은 비 오듯 흘러내렸다.

수업은 세르지뉴 관장이 부관장을 상대로 각종 기술을 보여주면 수강생들이 각자 정해진 훈련 파트너와 기술을 연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날 관장이 보여준 기술은 바닥에 누워 서 있는 상대를 공략하는 ‘스탠딩-가드’였다. 양 선수의 자세에 따라 스탠딩-스탠딩(둘 다 서 있는 경우), 스탠딩-가드, 가드-가드(둘 다 엉덩이나 등을 바닥에 댄 경우)로 구분된다. 바닥에 등을 대고 누운 세르지뉴 관장이 상대의 양 소매 깃을 잡았다. 그리고 왼쪽 발뒤꿈치를 상대의 오른쪽 무릎 뒤축에 댄 뒤 잡아당겨 순식간에 스윕(바닥에 있는 사람이 상대방을 바닥으로 눕히며 일어나는 기술)에 성공했다. 관장은 가벼운 미소를 지으며 “캉(kang)” 하고 기자와 한 남자를 불렀다. ‘캉’은 기자의 성이다. 올 것이 온 것이었다.

기자, 리우에 잠들다(?)

기자가 파트너와 함께 연습한 기술은 간단한 조르기였다. 바닥에 누워 있는 상대를 가슴으로 눌러 압박한 뒤 몸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서 상대의 목을 조르는 것이었다. 먼저 조르기 기술을 시도했지만 생각대로 쉽게 구사되지 않았다. 기술을 걸 생각에만 집중하다 보니 압박이 느슨해졌고, 그 틈을 타 상대는 자세를 풀고 달아나 버렸다. 팔에 신경을 쓰니 이번에는 상대의 다리가 풀렸다.

지켜보던 세르지뉴 관장이 “무릎이 아닌 발끝을 활용하라”고 조언했다. 상대의 몸을 위에서 누른 상태에서 발끝이 아닌 무릎을 바닥에 댄 채 이동을 하는 바람에 도망갈 틈이 생겼다는 것이었다. 관장의 원포인트 레슨은 즉시 효과를 냈다. 바닥에 엎드려 무게 중심을 낮춘 채 발끝으로 이동하니 제대로 목을 조를 수 있었다. 상대는 이내 “컥컥” 소리를 내며 졌다는 의미로 바닥을 두드렸다. ‘오호∼, 이 맛에 격투기를 하나?’

관장의 공수 교대 지시에 따라 이번에는 긴장된 표정으로 바닥에 누웠다. 관장은 “못 견디겠으면 항복의 의미로 바닥을 두드리면 된다”고 말했다. 그 말에 덜컥 겁이 났다.

공격을 당할 때 느낌은 공격을 할 때와는 완전히 달랐다. 가슴을 짓누르는 상대의 몸무게는 승용차처럼 무겁게 느껴졌다. 그리고 뱀처럼 들어온 상대의 목 조르기에 정신이 혼미해졌다. 아직 다 못 쓴 기사,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본 브라질 아가씨의 얼굴이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아, 내가 이렇게 가는구나…. 아직 고백도 못 했는데….’

훈련 파트너인 루카스 비에이라 안요스(22·요리사)는 “온몸이 서로 맞붙은 채로 대결하는 것이 주짓수의 가장 큰 매력”이라고 말했다. 어린 시절 살을 빼기 위해 주짓수를 배우기 시작했다는 그는 “내 몸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다는 데 매력을 느껴 10년도 넘게 주짓수를 배우고 있다”고 말했다.

몸으로 두는 체스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국내에서 브라질리안 주짓수를 배우거나 해 본 사람은 1만 명 정도인 것으로 주짓수 동호인들은 추산한다. 최근에는 종합격투기 선수들 외에 유명 연예인들도 브라질리안 주짓수를 배우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짓수의 매력 중 하나는 다양한 기술 구사다. △테이크다운(상대를 바닥에 넘어뜨리는 기술) △스윕(누워 있는 사람이 상대를 눕히며 일어나는 기술) △서브 미션(상대의 관절을 꺾거나 목을 졸라 항복을 받아내는 기술) △이스케이프(상대에게 깔린 상태에서 방어하고 탈출하는 기술)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상대의 자세와 상황에 따른 다양한 응용 기술들이 있다.

‘누구나 쉽게 배우는 주짓수 입문’을 쓴 한진우 런주짓수 관장(41)은 “몸으로 체스를 두듯 상대의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브라질리안 주짓수의 매력”이라고 말했다. 체격이 좋고 힘이 세다고 잘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기술에 따라 다양한 변화로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머리가 좋아야 잘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것이다. 그 때문일까. 최근에는 여성과 초중학생들도 체육관을 찾는다고 한다. 아예 이들을 위한 수업을 따로 마련할 정도라고.

장순호 사단법인 대한민국주짓수협회장은 “아무리 기술이 좋아도 여성이 남성의 힘을 당할 수 있겠느냐고 생각하지만, 아무리 남성의 손목 힘이 강해도 여성의 허벅지 힘보다 셀 수는 없다”며 “여성이 허벅지를 활용해 손목 꺾기를 제대로 하면 성인 남자라도 버텨낼 수 없다. 적은 힘으로 센 상대를 제압하는 것이 주짓수의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리우데자이네루=강홍구 기자 windup@donga.com
#주짓수#리우올림픽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