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최고 단계에도 서울行”…충북지사 행적 논란

  • 뉴시스
  • 입력 2023년 7월 31일 15시 30분


코멘트

"오송 참사 전날 밤 재난회의 달랑 3분…부실 대응"
충북도 "6~7분 회의…업체 대표 2명 만나 조언 청취"

재난 대응 최고 수위인 3단계가 발령됐던 지난 14일 김영환 충북지사 행적이 도마에 올랐다. 야당은 재난 대응 콘트롤 타워가 제기능을 못해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빚어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충북도의원은 31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기록적 폭우로 비상 3단계가 선포된 14일 김 지사는 상황실도, 재난 우려 지역도 아닌 서울에 있었다”며 “김 지사는 비공식 일정을 이유로 재난 긴급회의 주재를 행정부지사에게 미뤘고, 비상 3단계 선포에도 (상경하는)차를 돌리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들은 “도민의 생명을 지키는 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며 “1분 1초가 부족한 시간에 관할 구역을 벗어난 이유와 누구를 만났는지 밝히라”고 김 지사에게 요구했다.

이들에 따르면 오송 참사 전날 서울에서 돌아 온 김 지사는 오후 10시51분 도청 정문을 통과해 14분 동안 머물다 나갔다. 민주당 도의원들은 “재난대책본부(재대본) 긴급 회의 주재가 목적이 아니라 (상황실에)아이스크림을 돌린 위문이었을 것”이라고 혀를 차기도 했다.

특히 “충북도는 보도자료 등에 김 지사의 재대본 회의 주재 시각을 조작한 정황도 있다”며 “김 지사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책무를 망각한 채 충북을 벗어난 이유를 명확히 해명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충북도가 즉각 반박에 나서기는 했으나 오송 참사 전날 도 재대본 콘트롤타워 부재 논란을 불식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당일 오후 7시 서울 모처에서 공모사업 관련 업체 대표 2명을 만났다. 윤홍창 대변인은 “도립미술관과 도서관 등 대형 인프라 구축사업 자문을 위한 자리”라면서 “서울에 있었지만 행정부지사와 수시 통화하는 등 재난 상황관리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김 지사는 14일 오후 3시19분 청주를 떠나 같은 날 오후 7시 업체 대표들을 만난 뒤 오후 8시12분 서울을 출발해 오후 11시께 도청에 복귀했다.

윤 대변인은 “만나기 어려운 전문가들이었고, 어렵게 성사된 자리여서 꼭 상경해야 했다”면서 “도는 14일 밤 지사 일정을 감추거나 은폐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의 당일 재대본 회의 참석 시간이 3~7분에 불과했던 이유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도 박준규 재난안전실장은 “상황 브리핑 중심의 회의였다”면서 “회의 시간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고 답변했다.

도 풍수해 대응 매뉴얼은 비상 2~3단계 재대본 회의를 도지사가 주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 이후 도는 김 지사가 14~15일 세 차례에 걸쳐 재난상황 점검회의를 했다고 밝혔다. 14일 오후 10시55분, 15일 오전 6시20분과 6시40분이다.

그는 15일 오전 9시44분 정선미 비서실장으로부터 오송 지하차도 침수 상황을 보고받은 이후인 오전 10시 괴산으로 향했다. 당시 정 실장은 상황을 오인해 ‘2명 사상’으로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5일 미호천교 확장공사를 위해 설치한 임시 제방이 같은 날 오전 8시45분께 무너지면서 쏟아져 나온 미호강 강물은 청주시 오송읍에 있는 436m 궁평2 지하차도를 집어삼켰다. 지하차도를 지나던 운전자 등 14명이 숨졌다. 이 지하차도 관리 책임자는 충북지사다.

[청주=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