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사고로 식물인간 됐지만…대법 “후견인이 처벌불원해도 인정 안돼”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17일 14시 56분


코멘트
김명수 대법원장이 17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 대법정에서 열린 전원 합의체 선고를 위해 자리에 앉고 있다. 2023.7.17/뉴스1
김명수 대법원장이 17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 대법정에서 열린 전원 합의체 선고를 위해 자리에 앉고 있다. 2023.7.17/뉴스1
‘반의사불벌죄’에서 성년후견인이 피해자를 대신해 처벌불원 의사를 밝히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처벌불원 의사는 원칙적으로 피해자 자신만 가능하고 성년후견인에 의한 대리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민유숙 대법관)는 17일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치상) 혐의로 기소된 A씨의 상고심에서 금고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A씨는 2018년 11월 경기 성남에서 자전거로 B씨를 들이받아 뇌손상 등 중상해를 입힌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B씨는 이듬해 6월 의사표현이 불가능한 식물인간 판정을 받았다.

이후 B씨 배우자가 성년후견인으로 인정받았다. 성년후견인은 장애, 질병, 노령 등으로 정신적 제약이 있는 사람을 대신해 법정대리인 역할 등을 할 사람을 뜻한다.

1심 선고 전 B씨 배우자는 A씨와 합의했고 법원에 처벌불원서를 냈다. A씨는 교통사고특례법위반(치상) 혐의는 피해자가 원치 않으면 죄를 물을 수 없는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해 공소기각 판결이 내려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심은 A씨에게 금고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고 A씨는 항소했지만 2심도 B씨 배우자가 한 처벌불원 의사표시의 효과를 인정하지 않았다.

대법원도 하급심 판단이 옳다고 봤다.

대법원은 “반의사불벌죄에서 성년후견인은 의사무능력자인 피해자를 대리해 처벌불원 의사를 결정하거나 처벌희망 의사표시를 철회할 수 없다”며 “성년후견인의 법정대리권 범위에 통상적인 소송행위가 포함돼 있거나 성년후견인이 가정법원의 허가를 얻었더라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대법원은 교통사고처리특례법에 ‘피해자의 명시적인 의사에 반해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고 규정한 점을 짚으면서 “처벌 여부는 피해자의 명시적 의사에 달려있음이 명백하다”며 “반의사불벌죄의 처벌불원 의사는 원칙적으로 대리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