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비피해 밤사이 더 늘어…침수 136건, 농작물 1만4579㏊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17일 08시 17분


코멘트
16일 전북 익산시 용안면 한 시설하우스 일대가 폭우로 인해 물에 잠겨 있다. 2023.7.16. 뉴스1
16일 전북 익산시 용안면 한 시설하우스 일대가 폭우로 인해 물에 잠겨 있다. 2023.7.16. 뉴스1
전북지역 비 피해가 밤사이 더 늘어났다.

지난 닷새간 군산·익산 등 북부지역에 집중됐던 비 구름대는 현재 고창 등 남부지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으로도 최대 250㎜의 비가 더 예보돼 피해는 더 확대될 전망이다.

17일 전북도에 따르면 오전 5시 기준 공공시설 42건, 사유시설 142건 등의 비 피해가 접수됐다. 농작물 피해 규모도 1만4579㏊로 크게 늘었다.

공공시설 피해는 도로 7건, 하천 14건, 문화재 7건, 산사태 14건 등 총 42건이 확인됐다. 도로 피해는 낙석·가도유실·파손·토사유실 등이다. 하천의 경우 사면유실 12건과 소교량 파손 1건이다.

문화재 피해는 법면유실 4건, 침수 1건, 담장붕괴 1건, 지붕파손 1건 등이 발생했고 익산·완주·장수·군산·무주·부안 등 6개 시·군에서는 2.53㏊ 규모의 산사태도 일어났다.

사유시설 피해는 142건이 접수됐다. 정전 1건, 침수 136건, 축대 파손 5건 등이다. 주택 침수는 총 98건으로 익산이 63건으로 가장 많았고 군산 22건, 부안 10건, 완주·남원·고창 각 1건이었다. 차량 침수는 3건으로 전주에서 2건, 김제에서 1건이 접수됐다. 이밖에 군산·전주·완주에서 축대파손 5건이 확인됐다.

농작물 침수 규모는 1만4579㏊에 달한다. 작물별로는 벼 9577㏊, 논콩 4533㏊, 시설원예 412㏊, 기타 57㏊ 등이다. 농작물 침수 피해 규모는 향후 더 늘어날 전망이다.

주민 대피도 늘어났다. 전주 등 도내 9개 시·군 424세대 753명의 주민이 주택침수 및 산사태 등의 우려에 따라 마을회관과 경로당, 인근 학교 등으로 대피했다. 이 중 168세대 251명은 귀가 조치했다.

16일 전북 익산시 용안면 한 시설하우스 일대가 폭우로 인해 물에 잠겨 있다. 2023.7.16. 뉴스1
16일 전북 익산시 용안면 한 시설하우스 일대가 폭우로 인해 물에 잠겨 있다. 2023.7.16. 뉴스1
통제 상황도 지속되고 있다. 전주 천변, 정읍 천변, 남원 요천, 김제 원평, 장수 장계천·요천, 순창 천변·경천 등 도내 8개소 둔치주차장이 통제되고 있다.

10개 국·도·군립공원 133개 탐방로도 통제 중이다. 아울러 하상도로 17개 구간(전주 13개, 완주 4개)과 하천 산책로 30개 노선, 여객선 5개 전 항로도 통제되고 있다. 전주 진북동 어은쌍다리도 통제 중이다.

도내 주요지점 누적 강수량(13~17일 오전 6시 기준)은 익산 함라 504.5㎜, 군산 487.5㎜, 완주 381.7㎜, 임실 강진 347.5㎜, 장수 339.4㎜, 김제 심포 336.0㎜, 전주 332.0㎜, 순창 복흥 329.5㎜, 진안 327.5㎜, 정읍 내장산 319.0㎜, 부안 위도 318.0㎜, 고창 심원 314.0㎜, 남원 뱀사골 281.0㎜, 무주 덕유산 245.0㎜ 등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전북 전 지역에는 호우경보가 발효된 상태다. 특히 고창에는 시간당 50㎜ 이상, 나머지 지역에도 30㎜ 내외의 매우 강한 비가 내리고 있다.

기상청은 18일까지 전북지역에 100~200㎜, 많은 곳은 250㎜ 이상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전북도는 재대본 비상 수준 3단계를 유지 중이다.

(전북=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