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위험 지역… 공주-보령-청양-천안 순으로 높아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5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충남도 ‘ASF 위험지수’ 도출

충남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은 공주·보령·청양·천안 동남구인 것으로 분석됐다. 충남도는 이 같은 내용의 ‘아프리카돼지열병 위험지수’를 도출했다고 29일 밝혔다.

도는 ASF가 처음 발생한 2019년부터 지난달까지의 ASF 발생 현황과 야생 멧돼지 포획 현황 등을 파악해 동·리 단위로 위험도를 분석했다. 경기도가 마련한 ‘야생 멧돼지 서식 분포 분석모델’을 활용해 충북과 강원 지역 자료도 분석 대상에 포함했다.

그 결과 공주 26곳, 보령 16곳, 청양 6곳, 천안 동남구 1곳이 도내에서 위험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2019년 9월 경기도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매년 야생 멧돼지와 돼지농장에서 감염이 나오고 있다.

야생 멧돼지 감염의 경우 2021년 11월 충북, 2022년 2월 경북에서도 발생하는 등 남하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3월 야생 멧돼지 감염이 확인된 충북 괴산군 청안면 운곡리는 충남까지 최단 거리로 26.5km에 불과하다. 도는 야생 멧돼지 하루 이동 거리가 2∼15km인 것을 고려했을 때 충남 인접 지역까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한 것으로 보고 있다.

전승현 충남도 데이터담당관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양돈농가 방역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아프리카돼지열병#발생 위험 지역#asf 위험지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