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숙 “성평등 정책 후퇴 지적, 동의 어려워…여성정책에 집중”

  • 뉴시스
  • 입력 2023년 5월 17일 15시 06분


코멘트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17일 “여성정책과 성평등 정책이 후퇴했다는 (시민단체의) 주장은 이념적 접근을 하기 때문에 나오는 이야기라 동의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 1주년을 기념해 출입기자단과 차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일부 여성단체가 여가부 장관이 ‘성평등의 걸림돌’이라고 비판한 것과 관련해 장관의 입장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여가부 폐지 저지와 성평등 정책 강화를 위한 범시민사회 전국행동’은 지난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 출범 1년 동안 성평등 정책이 퇴행했으며 김 장관을 향해 ‘성평등에 걸림돌이 되는 행태를 보여왔다’면서 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김 장관은 “(성평등의 걸림돌은) 너무 과한 표현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면서 “시민 단체는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기는 하지만 (주장에) 동의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김 장관은 국제사회에서 실질적 양성 평등은 두 개의 축인 정치 영역과 경제 활동 분야에서의 여성의 활동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두 가지를 이뤄가기 위해 노력해 왔고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취임한 이후 지난 1년 동안 여가부의 조직 개편과 기능 강화에 힘썼다고 밝혔다. 여가부 조직 개편안과 관련 “정부 조직 개편안은 국회에 제출돼서 2월에 잘 안됐기 때문에 여전히 국회의 몫”이라면서 “여가부가 할 일은 다 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기능 강화 측면에 대해서는 “청소년과 가족 정책에 역량을 많이 쏟았고, 지금은 여성 정책에 집중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여성 경제 활동이 일종의 새로운 인력군이다. 미래 인력의 보고이므로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확대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남녀 성별 임금 격차의 가장 큰 원인으로 여성의 경력 단절을 꼽았다. 이에 여성 경력 단절을 예방하고 양질의 일자리 진입 촉진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무엇보다도 여성들의 경력이 단절되지 않고 일·가정 균형을 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성별 임금 격차를 줄이는 가장 중요한 첩경”이라고 진단했다. 이를 위해 30대 경력 단절 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육아 휴직 복귀 후 교육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범정부 여성인력양성협의체를 꾸려 부처 간 협의를 거쳐 관련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디지털 시대에 과학기술 분야에 여성들이 많이 진출하도록 대학교육도 바꾸고 직업훈련도 여성 프렌들리하게 갈 수 있도록 바꾸려고 이번에 범부처 인력양성협의체 안에서 내용을 같이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이날 7주기를 맞은 강남역 살인사건과 관련해 우리 사회에 여성혐오 범죄가 없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에는 “강남역 같은 사건이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된다”면서 “여성에 대해 (폭력이) 이뤄졌으면 여성에 대한 폭력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데 그것이 일종의 젠더갈등처럼 비화되는 부분을 염려해 신중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고용노동부에서 최근 저출산 대책으로 내놓은 외국인 가사도우미 시범사업 도입과 관련해서는 “필요성에 대해 논의할 시점이 됐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여가부는 아이돌보미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여러 정책을 내고 있기 때문에 밸런스를 좀 맞춰 줘야 한다”고 부연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