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폭스’ 감염원 확인 난항…‘익명 검사’가 대안 될까

  • 뉴스1
  • 입력 2023년 4월 23일 07시 30분


코멘트
/뉴스1
국내 엠폭스(MPOX) 유행이 지역사회 N차 감염 전파를 타고 이달 말까지 지속될 양상이다. 엠폭스의 전파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감염 의심자를 대상으로 한 익명 검사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온다.

23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엠폭스는 지난해 6월 국내에 처음 발생했다. 5번째 환자까지 해외 유입이나 관련 사례 환자였으나 7일 확진된 6번째 환자 이후 지역사회 감염 환자가 빠르게 늘어났다. 21일까지 엠폭스 국내 발생 누적 환자는 총 20명으로 지역사회 감염 추정 환자만 15명이다.

방역당국은 아직까지 지역사회 내 전파의 연결고리를 차단하지 못하고 국내 추가 확진자 발생을 염두에 두고 있다. 개인간 접촉을 통해 소규모로 감염 전파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엠폭스는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원숭이뿐만 아니라 쥐, 다람쥐 같은 설치류에서 사람으로 전파된다. 사람 간 전파,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과 접촉한 경우에도 감염될 수 있고 태반을 통해 산모에서 태아로 수직감염도 이뤄진다.

실제 미국에서는 설치류 일종인 프레리도그에 물려 감염된 사례도 보고됐다. 대부분의 경우 감염자 비말(침방울)과 코, 구강, 인두, 점막, 폐포로 직접 전파된다. 감염된 동물·사람의 혈액과 체액, 피부, 점막 병변과 직간접 접촉도 전파 원인으로 꼽힌다.

국내에서 엠폭스 전파고리를 끊기 어려운 이유는 사회적으로 노출을 꺼리는 환경을 통해 감염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성소수자 간 밀접한 신체 접촉으로 인해 신규 확진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관측한다.

때문에 당국은 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효과를 우려해 신규 감염자의 동선과 정보를 공개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감염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는 N차 감염자도 자신의 감염사실을 뒤늦게 알 수 있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익명 검사를 해법으로 보고 있다. 확진자의 이동 동선에 따른 주요 장소에서 접촉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익명 보장 검사를 진행해 감염 전파의 고리를 빠르게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신상엽 KMI한국의학연구소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은 “역학조사로 밀접접촉자의 연락처를 찾기도 어렵고, 찾은들 검사까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3T가 안 먹힌다”며 “성 소수자 커뮤니티 등에 익명 검사를 알리고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방역당국의 익명 검사 도입 여부는 아직 미정이다. 한 당국 관계자는 “의심 시 익명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검사받은 당사자만 알기에는 밀접 접촉자의 선제검사, 예방접종 기회가 박탈될 수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대신 질병청은 엠폭스 고위험군 대상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현재 고위험군 이용 시설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감염 예방수칙 준수 안내문을 제작·배포했다.

질병청 관계자는 “의심 증상 신고자의 개인정보를 철저히 보호하고 있다”며 “의심 환자와의 밀접 접촉 등을 겪은 데 따른 의심 증상이 있으면 주저 없이 질병청 콜센터(1399) 등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